北 “사드 위치 확정되면 물리적 대응”

입력 2016-07-11 18:11 수정 2016-07-11 21:26
북한이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가 한반도에 배치되는 대로 ‘물리적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북한은 11일 노동신문 등 주요 관영매체에 게재된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포병국’ 명의의 ‘중대경고’에서 “사드 체계가 남조선에 틀고 앉을 위치와 장소가 확정되는 그 시각부터 그를 철저히 제압하기 위한 우리의 물리적 대응 조치가 실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성명은 한·미 양국이 지난 8일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결정을 발표한 지 사흘 만에 나온 북한의 첫 공식 반응이다. ‘위임’에 따른 중대경고라고 밝혀 김정은 정권 차원의 대응임을 시사했다. ‘포병국’을 발표 주체로 내세운 것은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에 대응하는 조직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포병국은 “미국과 남한에 엄숙히 경고한다”면서 “남조선은 미국 상전의 사드 체계를 끌어들이는 것으로 하여 우리의 무자비한 불벼락을 자초하는 자멸의 비참한 말로를 더욱 앞당기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남한의 모든 침략전쟁 수단은 물론 대조선 공격 및 병참보급 기지들까지 정밀조준 타격권 안에 잡아넣은 지 오래”라면서 “당장에라도 명령만 내리면 가차 없이 무차별적인 보복타격을 가하여 불바다, 잿더미로 만들어 놓으려는 것이 우리 군대의 드팀(틈) 없는 의지”라고 위협했다.

북한이 시사한 물리적 조치로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인 ‘스커드’나 중거리 탄도미사일인 ‘노동’의 시험발사 등이 우선 거론된다. 고고도 방어체계의 특성상 북한의 발사 위치와 사드 배치 지역에 따라 방어에 난점이 발생한다는 ‘사드 무용론’을 파고드는 선전 전략 차원에서다.

중대경고는 “군사적 효용성이 충분히 검증되지도 않고, 강력한 고출력 전파로 인명피해를 초래하게 돼 있는 미완성 체계인 사드를 천문학적 혈세까지 섬겨 바치며 반입하기로 했다”고 주장, 남남갈등 조장을 직접 겨냥하기도 했다.

사드 발표 직후 감행한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의 후속시험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SLBM은 잠수함에서 기습 발사된다는 점에서 적 미사일 발사지점을 사전 탐지해 방어하는 사드의 맹점 중 하나로 꼽혀왔다. 더불어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비무장지대(DMZ) 등지에서 갑작스러운 군사도발을 벌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은 경고문에서 “미국, 남조선 동맹을 주축으로 하는 아시아판 ‘나토’를 구축해 동북아시아 지역의 대국들(중국·러시아)을 견제하고 군사적 패권을 거머쥐자는 데 그 흉심이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에 편승해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 구도를 부추기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보기]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