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이 새누리당과 자당에 대한 편파 대응을 지적하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향한 공세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독기’를 품은 듯 ‘선관위 외압설’까지 제기하며 더불어민주당과의 공조를 통해 의혹을 밝혀내겠다는 선언도 했다. 선관위와 검찰을 압박하고, ‘국민의당 홍보비 리베이트 사건’에 쏠린 시선을 정부·여당에 돌리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박 위원장은 10일 국민의당 소속 국회 안전행정위원 및 법조계 출신 의원 10여명과 함께 국회 원내대표 회의실에서 ‘선관위의 편파 행위에 대한 대책 회의’를 열었다. 국민의당은 선관위가 새누리당 조동원 전 홍보기획본부장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고발한 지난 8일 이후 사흘 내내 관련 회의와 기자간담회를 이어가고 있다. 박 위원장은 이날 회의 개최를 위해 지역구에 내려가 있던 의원들에게 모바일 메신저인 ‘바이버’를 통해 ‘동원령’까지 내렸다.
박 위원장은 “선관위가 해도 너무한다”고 성토했다. 그는 기자단 오찬에서 “선관위가 조 전 본부장 관련 보도자료를 낸 오후 6시30분은 뉴스 제작시간이고 퇴근시간”이라며 “김수민 의원 사건 보도자료는 오전 9시에 냈는데 그게 ‘신(新)보도지침’ 아니냐”고 따졌다. 이어 “오후 3시에 자료를 발표하기로 결재를 해놨는데 도처에서 (발표를) 연기하라는 압박이 들어갔다”며 ‘압력설’까지 제기했다.
장정숙 원내대변인은 대책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선관위는 새누리당의 총선 TV광고 제작비용 3억8500만원을 어떤 근거로 보전해줬는지, 새누리당이 제작비를 허위로 보전 청구했을 가능성과 또 다른 리베이트의 가능성은 없는지도 살펴야 한다”고 압박했다.
선관위 측은 박 위원장의 의혹 제기는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새누리당이 보전 청구한 3억8500만원은 과다 청구됐다고 보고 선관위는 3000만원을 감액한 3억5500만원만 지급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압박에 더민주도 공조했다. 야권은 안행위 전체회의를 소집해 선관위 보도자료 작성 경위 등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더민주 이재정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국민의당 인사들에 대한 고발 건과 유사한 혐의의 사건임에도 선관위 대응 수위는 온도 차이가 있다”며 “‘이중잣대’ 대처가 다시 ‘이중잣대’ 수사로 이어져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의 강공은 국면전환용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의 최측근인 박선숙 의원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11일 예정된 만큼 결과에 따라 자칫 ‘당 간판스타’의 도덕성과 리더십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공세가 먹힐 경우 야당 탄압 ‘프레임’도 덧씌울 수 있다. 한 야권 관계자는 “박선숙 김수민 의원에 대한 영장이 혹시라도 발부되면 국민의당에 비판이 쏟아질 텐데 이를 방어하기 위한 전략 아니겠느냐”고 했다.
[정치뉴스]
☞
☞
☞
☞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독기’ 품은 박지원, 檢·선관위 ‘압박’
입력 2016-07-10 18:01 수정 2016-07-10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