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랄산업, 경제성·안보에서 득보다 실 많아”

입력 2016-07-10 20:50
박근혜 대통령이 할랄산업을 수출 주력산업 중 하나로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한국교계와 지역 시민단체가 즉각 반대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한국교회언론회(대표 유만석 목사)는 10일 ‘할랄산업은 우리 경제의 미래 먹거리도, 수출 신산업도 아니다’라는 논평을 발표하고 경제성 및 국가안보 차원에서 이득보다 해가 많은 할랄산업 국내 육성 방침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교회언론회는 “할랄산업 육성은 무슬림들의 일자리 창출일 뿐, 우리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은 아니다”라면서 “오히려 이슬람 인구의 대거 유입으로 국가안보 불안과 종교 간의 갈등을 증폭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할랄인증과 유지를 위해 기업을 이슬람 율법에 종속시키고, 막대한 혈세낭비와 국부유출의 손실을 입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할랄산업을 육성해 미래의 먹거리를 창출하겠다면 국내에 할랄식품 클러스트를 조성할 게 아니라, 국내 기업들이 아랍에미리트나 말레이시아 등 이슬람국가에 공장을 세워 운영하는 게 유리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형만 이슬람대책강원도민운동 대표는 “북한과 대치상태에 있는 남한에서 이슬람국가(IS)에 의한 테러사건까지 터진다면 기존에 유치해놓은 해외자본이 썰물처럼 빠져나갈 것”이라며 “이슬람 자본 몇 푼 끌어들이려다 국가경제 마비상태가 올 수도 있다. 할랄식품 종사자 틈에 숨어들어 올 수 있는 IS 과격분자를 100% 색출해낼 자신이 없다면 이런 얘기는 꺼내지도 말라”고 지적했다.

전북 익산지역을 중심으로 결성된 이슬람대책전국시민연대의 임채영 사무총장도 “할랄식품을 육성해 경기를 활성화하겠다는 데 사실상 실현 불가능한 얘기”라면서 “정부가 이런 방식으로 여론을 호도하면 안 된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들 시민단체는 세미나와 공청회 등을 통해 할랄산업 육성정책의 문제점을 알리고 이슬람 문화 옹호·조장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백상현 전병선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