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장까지 청구할 사안인가” 국민의당 아연실색

입력 2016-07-09 00:09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가운데)이 8일 검찰의 박선숙·김수민 의원에 대한 사전구속영장 청구 직후 긴급 비공개 회의를 소집해 김성식 정책위의장(오른쪽),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김지훈 기자

검찰이 ‘총선 리베이트 의혹’을 두고 박선숙 김수민 의원에 대해 전격 구속영장을 청구하자 국민의당은 아연실색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사퇴로 잠잠해졌던 리베이트 의혹이 재점화되면서 파장이 어디까지 확산될지 긴장한 모습이 역력하다.

반면 당 내부에선 검찰의 고강도 수사에 대한 반감이 표면화하고 있고, 그동안 침묵을 지켰던 박 의원도 강하게 반발했다.

국민의당은 8일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소식이 전해지자 당내 수사기관 및 법조인 출신 의원을 대상으로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했다. 박주선 국회부의장과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 권은희 김삼화 이용주 의원 등이 참석한 이 자리에선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배경 및 적절성, 별건수사 가능성, 향후 대응 방안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경록 대변인도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당 소속 두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에 대해 어떤 이유에서든 송구스럽다는 말씀 올린다”고 사과했다. 검찰이 이미 구속된 왕주현 전 사무부총장을 비롯, 관련자 모두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자 사안이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의혹 초기 ‘무혐의’를 자신했다가 왕 전 사무부총장 구속으로 국민적 실망감을 안긴 터여서 더욱 몸을 낮추는 모습이다.

내부적으로는 검찰이 무리하게 법 적용을 하고 있다는 불만도 뿌리를 내리고 있다. 김 대변인은 “검찰이 왕 전 사무부총장을 구속 이후 하루를 제외하곤 매일 불러 조사하고 있다”며 “구속영장 청구 내용을 보면 영장까지 청구할 사안인지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당 핵심 관계자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검찰은 왕 전 사무부총장이 구속된 상태에서 현역 의원 2명을 추가로 구속하려 하고 있다”며 “설사 검찰이 내세운 혐의가 다 인정된다 하더라도 그 정도로 중대한 사안인지에 대한 의문은 있다”고 말했다.

사건 발생 이후 침묵했던 박 의원도 검찰 수사를 성토했다. 박 의원은 국민일보에 “저도 오늘은 한 마디 해야 할 것 같다”며 “검찰 조사에 성실히 임했고, 추가 조사가 필요하면 협조하겠다고 했음에도 검찰이 영장을 청구한 것은 유감이다. 법원에서 진실을 밝히고 결백을 입증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관련자에 대한 출당 등 후속조치는 논의하지 않고 있다. 당 관계자는 “안 전 공동대표가 이미 정치적 책임을 지고 사퇴한 상황”이라며 “관련자에 대해서는 지난 의원총회와 비대위에서 이미 결론을 내린 상황이다. 추가 조치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이 요구해온 7월 임시국회 소집도 암초를 만났다. 자칫 두 의원을 위한 ‘방탄국회’ 비판이 쏟아질 수밖에 없어서다. 당 관계자는 이에 대해 “7월 임시국회 소집은 리베이트 의혹이 터지기 전인 20대 국회 개원 당시부터 요청했던 사안”이라며 “이번 사태와 연관시키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보기]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