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8일 새누리당 지도부와 국회의원을 모두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했다. 이 일정이 잡혔을 때 아쉬웠던 점은 협치를 말한 대통령이 왜 야당을 먼저 초대할 수 없었느냐는 거였고, 기대했던 점은 달라진 리더십과 국정운영 방식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4·13총선 참패 이후 처음 마련된 당·청 소통의 자리였다. ‘배신자’라던 유승민 의원과 다시 만나는 무대였으며, 8·9전당대회를 앞두고 계파 갈등이 또 첨예해진 시점이었다. 150여명이 모인 자리에서 내밀한 얘기가 오가긴 어렵다. 메시지는 만남의 형식과 절차에서 찾아야 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여당 의원 전원을 초청했을 때와 꽤 다른 모습을 보였다. 장황하게 국정 협조를 당부하며 의원들을 사실상 압박하던 것과 달리 모두발언이 짧았다. 오찬이 끝난 뒤에는 의원들을 보내며 일일이 인사를 나눠 환송에 1시간18분이 걸렸다. 지난해에는 없었던 일이다. 유승민 의원과도 다소 길게 대화를 나눴다고 한다. 오찬의 내용은 원론적인 선에 머물렀다. 박 대통령은 경제와 안보 위기를 언급하며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당과 정부가 혼연일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과 여당의 만남은 이렇게 형식적인 변화를 선보이며 ‘화기애애하게’ 마무리됐다. 그러나 당내 계파 갈등이 어떻게 될지, 국정 리더십을 규정할 당·청 관계는 어떤 모습일지, 협치의 과제는 어떻게 풀어갈지 방향을 제시하진 못했다. 이는 여권의 숙제로 남았다. 총선이 끝난 지 벌써 석 달이 지났다.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조속히 여권 내부를 정비하고 야당과 함께 위기 극복과 민생을 위한 정책을 실현해 가야 한다. 정부의 각종 대책이 재탕과 남발이란 비판을 받고 여당은 제대로 된 정책 하나 내놓지 못하는 난맥상을 서둘러 해소해야 대통령이 말한 위기를 넘어설 수 있다. 다음 달에는 국회 의장단과 상임위원장들이 청와대에 간다. 형식적 소통을 넘어선 협치의 무대가 돼야 할 것이다.
[사설] 당·청, 여권 난맥상 해소하고 위기대응 전념하라
입력 2016-07-08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