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가상현실(VR) 산업 진흥을 위해 최소 1000억원을 투자한다. VR 관련 연구·개발(R&D) 업체에 최대 30%의 세액공제를 지원하고, 규제 중심의 관련 법안도 손볼 계획이다. 다만 업계에선 정부의 방안이 양적 부분에만 치중해 신규 VR 콘텐츠 마련 등 질적 측면을 소홀히 한 정책이란 지적도 나온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VR 산업 투자활성화 대책을 확정했다고 7일 밝혔다.
큰 줄기는 세 가지다. 우선 정부는 VR 게임과 VR 테마파크 등을 중심으로 추진 중인 가상현실 선도 프로젝트를 내년부터 건축, 교육, 의료 등으로 확대키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 예산 300억원, 민간 300억원 등 총 6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한다.
가상현실 거점도 조성한다. 서울 마포구 상암 DMC를 VR 산업 육성의 전진기지로 삼아 VR 업체의 입주 지원, 인력 양성 기능을 집중할 방침이다. 오는 10월 상암 DMC에서 VR 관련 개발자 대회·전시회 등을 묶은 ‘서울 VR 페스티벌’을 열기로 했다.
중소 VR 콘텐츠 제작 기업의 시장 진입을 돕기 위해 400억원 규모의 VR 펀드도 신설한다. 신성장 R&D 세액공제(최대 30%) 대상에 VR 기술을 추가하고, 관련 규제도 완화할 방침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일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VR 기기를 쓰고 롤러코스터 경험을 하는 경우에도 관광진흥법이나 게임법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러한 규제를 없애거나 완화해 VR 관련 기업의 활발한 투자를 이끌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2020년까지 VR 관련 매출액이 연 10억원 이상이거나 세계에 유통되는 VR 콘텐츠를 5종 이상 보유한 기업 50개를 키워내겠다는 게 정부의 1차 목표다.
VR 업계는 환영하면서도 “콘텐츠 육성 방안이 명확하지 않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 VR 업체 관계자는 “1000억원이나 되는 돈을 명확히 어디에 쓸 건지 모르겠다”며 “테마파크와 게임 등은 문화체육관광부, 의료는 보건복지부, 건축과 건설 분야는 국토교통부로 분산될 텐데 이 부처들의 VR 이해도가 과연 높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도 “미래부가 VR 콘텐츠에 37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한 게 지난 5월인데, 2개월 만에 또 새로운 안을 내놨다”며 “명확한 기준안과 비전을 가지고 콘텐츠와 하드웨어 중 어느 부분에 방점을 둘지 결정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경제뉴스]
☞
☞
☞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상암 DMC에 VR 클러스터, 건축·의료·교육까지 확대
입력 2016-07-07 18:18 수정 2016-07-07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