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디젤게이트’에 친환경 이미지 반사이익 기대했는데… ‘외면과 규제’ 막힌 LPG차의 눈물

입력 2016-07-08 04:01

‘디젤게이트’ 파문과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른 반사이익을 기대했던 LPG자동차 시장이 올 상반기에도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LPG업계는 정부가 각종 규제를 풀어 석유차에 비해 친환경적인 LPG자동차 보급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7일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국내 LPG자동차 등록대수는 224만470대로 나타났다. 이는 전달인 224만7412대에서 약 7000대가 빠진 수치다. 이런 하향추세는 지난 1월부터 계속되고 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해도 지난해(7만9350대 감소)와 비슷한 수준인 8만대 안팎의 감소가 예상된다.

이런 상황은 SK가스와 E1 등 LPG업체들의 기대와는 정반대다. 업계는 지난해 말 폭스바겐의 디젤차량 배기가스 조작사건 등으로 높아진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에 힘입어 LPG자동차 수요도 회복세로 접어들 것으로 기대했었다. 실제 문제가 되고 있는 경유차와 비교하면 LPG자동차가 내뿜는 배출가스량은 극히 적다. 2014년 환경부의 ‘경유택시 배출가스 관리방안 연구’를 보면 그랜저2.2(경유) 모델이 1㎞ 주행 시 질소산화물(NOx)을 0.366g 배출할 때 YF쏘나타2.0(LPG)은 0.012g 배출하는 데 그쳤다.

해외 상황은 국내와 다르다. 세계LPG협회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LPG자동차 보급대수는 매년 평균 9% 성장세를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LPG가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로 부각되면서 터키, 폴란드, 이탈리아 등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매출의 40%가량이 차량용 LPG 판매에서 나오는 LPG업체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업계는 정부가 LPG자동차 공급에 걸려 있는 규제를 풀고, 보급을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LPG자동차는 일반인에게는 판매가 허용되지 않는다. 택시용, 장애인·국가유공자, 하이브리드·경차·레저용차량(RV) 등 일부 계층·차종만 사용하도록 법으로 제한돼 있다. 내년부터 5년 이상 된 LPG중고차를 일반인도 구입할 수 있게 됐지만 시장에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시장이 제한되다 보니 완성차 업체들도 굳이 LPG 전용차종 개발·양산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없다. 소비자 입장에선 LPG자동차를 구입하고 싶어도 차종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셈이다. 여전히 부족한 LPG충전소 문제까지 고려하면 유인 요소는 더 떨어진다.

이런 악순환은 수치로 드러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인 2000년 전후부터 저렴한 LPG 가격이 부각되면서 매년 상승세를 보이던 LPG자동차 등록대수는 2010년에 정점을 찍고 하락세로 돌아섰다. 하락 폭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폐차 시기가 도래하면서 기존 LPG자동차 이용자들이 다시 동종 차량을 선택하지 않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휘발유·경유에서 전기차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LPG자동차가 친환경 정책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제뉴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