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에서 마트, 세탁소, 건설업체 등을 운영해 온 영업기업들이 “미수금 채권을 정부가 나서서 인수하고 우선 변제해 달라”고 촉구했다.
개성공단 영업기업연합회는 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중기중앙회관에서 비상대책 총회를 열고 “정부는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무이자 담보대출 지원책을 발표하고 마치 피해보상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개성공단 영업기업은 60여곳이며 이들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영업을 해왔다. 연합회는 미수금 채권을 포함한 영업기업의 피해액은 700억원대로 파악했다.
연합회는 “개성공단 폐쇄로 손해를 입은 영업기업 중 보상은커녕 대출로 지원해 주는 지원금이 0원인 기업이 30%가 넘는다”며 “그나마 일부 받을 수 있는 기업들의 지원금 수준은 개성공단 퇴직 근로자의 위로금보다도 못하다”고 호소했다. 개성공단에서 마트를 운영한 김모씨는 “(업체의) 실제투자금액은 3억원 정도 되는데 통일부의 피해 실태 조사에서는 정식으로 수출 신고된 것만 인정받아 1억5000만원으로 집계됐다”며 “재고품에 대한 금액은 하나도 인정받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연합회는 현재까지 정부의 보상액은 총 피해액의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주장하며 투명한 보상과 적절한 지원, 미수금 문제 해결 등을 촉구했다.
[경제뉴스]
☞
☞
☞
☞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개성공단 영업기업들 “미수금 채권 우선 변제하라”
입력 2016-07-07 1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