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밀집지 흔들 떨고 있는 한반도… 울산 5.0 강진에 “후쿠시마 재앙 남의 일 아니다”

입력 2016-07-07 01:42 수정 2016-07-07 04:02

울산 해역에서 규모 5.0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과 함께 국민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원자력발전소 인근 주민들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재앙이 닥치는 것 아니냐는 ‘지진 트라우마(외상후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지진에 대한 걱정이 막연했는데 이제는 정말 무섭다”고 토로할 정도다. 원전, 중화학단지 등 산업시설이 몰려 있는 지역에 대형 지진이 날 경우 대재앙도 우려된다.

국내 최대 원전 밀집지역이며 초고층 건물이 즐비한 부산의 경우 지진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어느 곳보다 심각하다.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강태섭 교수는 “한반도에서 지진이 빈발한 곳이 부산과 울산, 경주 등 원전이 밀집해 있고 인구가 많은 대도시 인근”이라며 “지진이 원전 등 중요시설에 타격을 준다면 큰 재앙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울산과 양산지역은 강진이 발생한 일본 규슈 지역처럼 지진 발생의 위험이 큰 활성단층에 걸쳐 있어 지진 발생 가능성이 큰 곳으로 꼽힌다. 실제로 최근 6년여 동안 울산의 지진 발생 빈도가 이전 10년간 발생 횟수보다 4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층에 변화가 생길 경우 훨씬 더 강도 높은 지진이 발생할 수 있어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손문 교수는 “관측자료, 역사지진자료, 활성단층자료 등을 봤을 때 한반도에서 규모 6.5∼7.0 사이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큰 지진에 대한 준비를 미리 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진으로 인해 가장 우려되는 대상은 원자력발전소다. 활성단층이 있는 울산 주변 50∼70㎞ 반경에는 월성에 6기, 고리에 6기가 가동 중이다. 건설 중인 2기, 최근 허가가 난 신고리 5·6호기까지 포함하면 총 16기의 핵발전소에 둘러싸여 있다.

이와 관련해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은 6일 “인근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 승인 절차가 잘못됐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건설 승인취소 가처분 소송을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고리원전 한 부지 안에 10개의 대형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거나 가동될 예정인데 원전 반경 30㎞ 안에는 부산·울산·경남 시민들 350만명이 거주하고 있고 반경 50㎞ 안에는 500만명이 거주하고 있다”며 “만약 고리원전에서 후쿠시마, 체르노빌과 같은 대형 사고가 발생하면 최소 350만명에서 최대 500만명을 피난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울산국가산업단지는 석유화학 공장과 조선, 자동차 등 중화학 업체 1100여곳이 있고 종사자만 35만명 이상인 데다 2차 사고의 위험이 큰 기름, 가스탱크와 화학물질이 가득 찬 파이프라인이 즐비하다. 그런데 울산 지역 관공서와 병원, 학교, 백화점 등의 내진 설계·보강률은 44%에 불과해 전국 평균 45.6%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자가 많은 울산대병원 등 종합병원 5곳은 내진설계나 보강 공사가 전혀 안 됐다. 내진 공사를 한 학교 건물도 전체 585곳 가운데 36.9%인 216곳에 불과하다.

환경운동연합은 6일 성명을 통해 “원전 인근 해양에서의 활성단층은 제대로 조사조차 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월성원전과 신고리 원전이 있는 한반도 동남부 육지에는 60개 넘는 활성단층이 있고 140㎞의 대규모 활성단층도 8개나 돼 지진 위험이 늘 있는 지역”이라며 “월성과 고리 핵단지에 대한 해양단층 정밀조사를 당장 실시하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국수력원자력은 국내 원전부지에는 활성단층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사회뉴스]





김재중 기자, 부산 울산=윤봉학 조원일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