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최경환 의원이 6일 당대표 경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총선 참패 책임론에 발목이 잡혔다.
친박(친박근혜)계 좌장 역할을 해온 최 의원과 비박(비박근혜)계 ‘러브콜’을 받아온 유승민 의원 등 계파 구심점 역할을 할 후보군이 모두 당권 경쟁에서 발을 빼면서 전당대회 구도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최 의원은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정부와 새누리당이 다시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그날을 위해 오직 평의원으로서 백의종군하겠다”며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죽어야 당이 살고 박근혜정부가 성공하고 정권 재창출이 이뤄진다면 골백번이라도 고쳐 죽겠다”며 “저의 불출마를 계기로 더 이상 당내 계파라는 이름으로 서로가 서로를 손가락질하고 반목하는 일은 없게 해 달라”고 호소했다.
최 의원은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지난 총선에서 당원동지 여러분과 국민 여러분께 큰 실망을 안겨드린 점 송구스러운 마음 금할 길 없다”며 “총선 이후 지금까지 책임론으로 밤낮을 지새우는 당의 모습을 지켜보며 참담하고 비통한 심정에 불면의 밤을 뒤척여왔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총선 기간 최고위원은커녕 공천관리위원회 구성과 공천 절차에 아무런 관여도 할 수 없었던 평의원 신분이었다”며 “그런데도 마치 제가 공천을 다 한 것처럼 매도당할 땐 억울함을 풀어볼까 생각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토로했다. 비박계를 겨냥해 “전대 시기도, 전대 룰도 모두 저에게 유리하도록 정하려고 한다는 황당한 음해를 접할 때는 마음을 추스르기 무척 어려웠다”고 아쉬움도 드러냈다.
최 의원의 불출마 선언 배경을 놓고 당내에서는 여러 해석이 나왔다.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으로 통하는 만큼 청와대와 어느 정도 교감이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부터 ‘친박계 교통정리 실패’로 인한 ‘플랜B’ 가동이라는 예측까지 나왔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청와대와 상의하지 않았다”며 “다만 정무수석 등이 저의 완강한 뜻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대통령에게) 적절한 의사 전달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의원의 불출마로 친박계는 사실상 대표주자 기근에 빠졌다. 전대 출마를 선언한 김용태 의원은 대표적인 비주류 소장파인 데다 이주영 의원은 출마 선언 당시 총선 책임론을 제기해 당내에서는 “친박계와 결별했다”는 평까지 나오고 있다. 친박계 주자로는 7일 공식 출마 선언을 준비 중인 이정현 의원과 출마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원유철 홍문종 한선교 의원 등이 전부다.
게다가 비박계에서는 현재 10일 출마를 선언할 정병국 의원과 김용태 의원이 경쟁하는 구도지만 당내에선 두 의원이 단일화를 이뤄낼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친박계에 비해 결집력은 약하지만 둘이 단일화할 경우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래서 관심은 주류 친박계가 띄우고 있는 ‘서청원 추대론’으로 모아지고 있다. 일단 서 의원은 강하게 거부하고 있지만 친박계는 서 의원을 향한 구애를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친박계 내부에서는 서 의원 출마 외에 당권 장악 돌파구가 없다는 말까지 나온다.
일각에선 서 의원이 고민을 시작했다는 말도 나온다. 최 의원도 “당이 지금 굉장히 반목하고 대립하기 때문에 어른 같은 분이 나서서 아우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의원들의 충정이 전달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치뉴스]
☞
☞
☞
☞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발 뺀 최경환… 친박 ‘서청원 카드’ 불씨 살리기
입력 2016-07-07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