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남 검찰총장이 진경준 검사장 ‘주식 대박’ 의혹을 수사토록 특임검사를 지명했다. 고위 공직자 재산공개에서 120억원대 시세차익이 드러난 지 100여일 만이다. 검찰은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 결국 이렇게 할 일을 처음엔 사표 받고 끝내려 했다. 비판 여론에 밀려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조사에 나섰고, 시민단체의 고발장이 접수된 뒤에야 수사에 착수했다. 진 검사장의 거짓 소명이 드러나고 주식 매입 자금이 넥슨 돈으로 밝혀지고도 한참이 지나 특임검사 카드를 꺼냈다. 지난 100여일간 검찰은 ‘제 식구 감싸기’의 전형을 보였다.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가 필요해 특임검사를 지명한다”는 설명이 무색하다.
특임검사제는 검사의 범죄를 독립적으로 수사하기 위해 도입됐다. 2010년 ‘그랜저 검사’, 2011년 ‘벤츠 여검사’, 2012년 ‘조희팔 뇌물 검사’ 사건에 이어 네 번째로 특임검사가 지명됐다. 앞선 세 차례 특임 수사에서 의혹이 제기됐던 검사는 모두 구속됐다. 진 검사장 사건에 특임검사를 동원한 건 그만큼 중한 혐의가 포착됐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주식 대박의 배경에 진 검사장과 넥슨의 부당한 거래가 있었는지 밝히는 데 수사력을 집중해야 한다. 제 식구를 향해 뒤늦게 뽑아든 칼이 성과를 내야 그간 실추된 신뢰를 조금이라도 만회할 수 있다.
진경준 사건부터 홍만표 전 검사장 전관비리 의혹, 서울남부지검 검사 자살까지 검찰의 여러 치부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돼 있다. 전관비리 의혹과 검사 자살 사건도 결코 두루뭉수리 넘어갈 수 없는 문제다. 곪은 부분을 스스로 드러내고 깨끗이 도려내는 수밖에 없다. 진 검사장은 주식 매입 자금에 대해 처음엔 “내 돈”이라고 했다가 “처가 돈”이라고 말을 바꿨고 이것도 거짓이었음이 드러났다. 검찰 고위 간부의 윤리의식을 의심케 한다. 거짓말로 일관한 이가 어떻게 그런 고위직에 오를 수 있었는지 검찰 스스로 내부를 돌아보기 바란다.
[사설] 진경준 향해 뒤늦게 칼 뽑아든 검찰
입력 2016-07-06 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