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2030년 인구 121만명 도시로 거듭난다

입력 2016-07-06 21:49

경기도 고양시가 2030년에는 1인당 공원면적 11.3㎡, 인구 121만5000명, 2도심·3부도심·7지역중심 체제의 경기북부 최대 친환경 자족도시로 변모한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양시 미래도시 발전 청사진인 ‘2030년 고양도시기본계획 수립(안)’을 승인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고양도시기본계획은 시가 수립한 2030년까지의 장기적인 도시발전 로드맵으로 기존 계획인 ‘2020 도시기본계획’과 비교해 인구 목표를 109만9000명에서 11만6000명이 증가한 121만5000명으로 설정했다. 또 시가화 용지는 5.314㎢가 늘어난 41.909㎢, 시가화 예정용지 물량은 7.921㎢가 감소한 33.738㎢, 보전용지는 3㎢가 감소한 190.759㎢로 정했다. 도시공간 구조는 기존 1도심(일산) 체제에서 2도심(일산, 화정) 3부도심(탄현, 대곡, 삼송) 7지역중심(대화, 장항, 식사, 원당, 관산, 고양, 덕은)으로 보완 설정해 일산과 덕양 등 지역 간 균형발전을 이룰 예정이다.

교통계획에는 국가철도망계획 등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에서 제시된 제2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서울∼문산고속도로, 신분당선 연장, 교외선 전철화 사업, 수도권 외부 순환선 등의 도로 및 철도계획을 반영했다.

공원녹지계획에는 향후 모든 공공 및 민간개발사업 시 부족한 도시 내 공원 확충과 주민이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함으로써 1인당 공원면적(2016년 현재 9.3㎡)을 11.3㎡까지 확대키로 했다. 또 도시의 아름다운 경관과 미관 유지를 위해 경관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기타 사회·문화·경제·방재안전계획 등 각종 개발지표도 설정했다.

시는 이번 기본계획 확정에 대해 향후 121만5000명을 수용하는 자족도시 건설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입장이다. 특히 그동안 계획인구 및 시가화 예정용지 부족 등으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던 각종 지역 현안사업들을 단계적으로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성 시장은 “이번 2030년 고양도시기본계획 승인은 고양 청년 스마트타운, 방송영상밸리, k-컬처밸리, 자동차클러스트,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유치로 본격 재도약에 나선 고양시 장기 플랜의 완성”이라며 “고양시가 경기북부 최대 거점도시를 넘어 통일 한국을 이끌 평화통일특별시로 나가는 로드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번에 승인된 도시기본계획을 이달 중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람할 예정이다.

고양=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