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호 VR방 잠정 연기된 사연은… 업체 “전파인증 등 심한 규제탓”

입력 2016-07-05 18:52
국내 최초 ‘가상현실(VR) 방’의 등장이 잠정 연기됐다. VR방 설립을 추진했던 업체 측은 VR과 관련된 과도한 규제에 발목이 잡혔다는 입장이지만 정부는 해당 업체가 정상적인 설립 절차를 받지 않았을 뿐 규제 탓이 아니라고 반박하고 있다.

국내 최초 VR방 사업을 준비하던 와우인사이트 측은 5일 “VR기기 전파인증 및 게임 등급물 심의 등 규제 탓에 사업을 잠정 연기한다”며 “사업 방향을 돌려 VR 플랫폼 스타트업으로서 재도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와우인사이트는 6월 중 서울 강남역 부근에 국내 1호 VR방을 열겠다고 공언했었다. 이미 3000여명의 예약자를 모집하고 5차에 걸친 사전 테스트를 통해 사업성을 검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VR방은 삼성 ‘기어VR’이나 오큘러스의 ‘리프트’, HTC의 ‘바이브’ 등 VR기기를 쓰고 게임과 탐험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지난해 8월 호주 멜버른에 세계 최초의 VR방인 ‘제로 레이턴시’가 문을 열면서 중국 상하이 등 세계 각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관련 부처는 와우인사이트의 ‘규제 탓’이란 주장은 억지라는 입장이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전자파가 나오는 모든 기기는 전파인증을 받아야 한다. 다른 기기 사용에 혼선을 줄 수 있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와우인사이트가 VR방에 도입하려 한 오큘러스와 HTC의 제품은 현재 국내에 정식 출시되지 않은 상황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한국의 VR 관련 전파규제 수준은 외국과 비슷하다”며 “오큘러스와 HTC가 신청을 안 해서 인증이 안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게임등급분류 심사도 게임법 개정으로 심의가 완화돼 문제가 없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미래부에 따르면 내년 1월부터 게임 등급분류 업무가 민간에 이양된다. 오큘러스처럼 자체 VR 콘텐츠 플랫폼을 운영하는 업체는 ‘알아서’ 등급분류를 하게 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VR 등 새로운 IT사업을 준비하는 업체는 미리 관련 절차를 숙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뉴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