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은 5일 정부의 용산공원 조성계획에 대해 “전면적으로 반대한다”며 “미국 정부에도 본래 약속한 대로 (공원부지를) 온전히, 신속히 비워줄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시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민선 6기 취임 2주년 합동인터뷰에서 “용산공원 조성은 천년에 한번 올 기회라고 생각한다. 민족의 공원으로 되살려야 되고 잘 보존해서 유네스코에 반드시 등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를 예로 들며 “공원 안 뿐만 아니고 밖에도 정비를 잘해야 한다. 공원과 어울리는 시설이 와야지 상업시설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4월 용산공원에 들어설 8개 콘텐츠 기획안을 발표했으나 ‘부처끼리 나눠먹기식 짜깁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박 시장은 “최근 칭찬에 취하고 자만에 빠졌던 탓에 구의역 사고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지 못했다”고 자성했다. 그러면서 “서울시장에 당선됐을 때의 초심을 잃지 않고 새로운 서울시, 함께하는 서울시를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시장은 우리 사회의 큰 화두는 불평등사회 극복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남은 임기동안 서울 그늘과 소외를 파고들겠다”며 “잃어버린 청년의 희망, 노인의 자존을 지키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국가와 시장 주도의 고도 압축성장으로 드리워진 불평등, 불공정, 불균형과 싸우겠다”며 “비정규직, 갑을사회, 하청사회를 반드시 퇴출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대권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서울시장 열심히 하려는데 왜 자꾸 그런 질문을 하는가 생각이 들면서도 서울시장을 형편없이 하고 있다면 그런 얘기가 안 나올테니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범중엄의 악양루기에 ‘先天下之憂而憂(천하 사람들에 앞서서 근심하고), 後天下之樂而樂歟(세상 사람들 모두 즐거워한 뒤에 즐거워하라)는 말이 있는데 그것을 서울시로부터 해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시장으로서 성공을 발판으로 대권에 도전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박 시장은 국회와 청와대를 세종시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과 관련해 “노무현 대통령 때 행정수도 이전을 잘했다고 본다.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외과적 수술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역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가 함께 가서 진정으로 지방분권과 자치가 살아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서초구에서 제안하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에 대해 “재정과 기술적 문제를 충분히 검토한 후에 고려해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이어 “주변지역과 묶어 개발해야 하는데 그러면 너무 큰 프로젝트가 되는 것도 부담이다”며 “강남북 격차 확대도 우려되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한강변 35층 제한과 관련해서는 “시민들이 참여해 결정한 ‘서울 2030 플랜’에 따른 것으로 원칙적으로 지켜져야 한다”고 말해 층고 제한을 완화하지 않을 것임을 내비쳤다. 미세먼지 대책으로는 사대문 안 교통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사회뉴스]
☞
☞
☞
☞
“용산공원 상업시설 안돼… 정부案 전면 반대”
입력 2016-07-05 21:20 수정 2016-07-06 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