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치른 자연계열 대입 논술시험에서 주요 대학의 ‘선행 출제’가 여전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선행 출제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심화 내용으로 시험 문제를 내는 것을 말한다. 연세대는 문항의 절반 이상을 고교 교육과정 밖에서 출제했다.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주요 대학 13곳의 2016학년도 자연계 논술전형 300개 문항 가운데 44개(14.7%)가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범위에서 출제됐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조사결과(21.3%)보다 소폭 줄었다. 다만 선행 출제를 한 대학은 9곳에서 10곳으로 늘었다.
연세대의 자연계 논술은 문항의 52%가 선행 출제였다. 이화여대(38.9%), 숙명여대·홍익대(각 33.3%), 서강대(25%), 고려대(17.9%)가 뒤를 이었다. 선행 출제 비율이 10% 이하인 대학은 건국대와 중앙대(각 9.1%), 경희대(8%), 성균관대(3.4%)였다. 동국대, 서울시립대, 한양대는 문항 전체를 교육과정 안에서 출제했다.
특히 수학의 경우 20.9%(129문항 중 27개)가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연세대는 8개 문항 전부를 교육과정 밖에서 출제했다. 이름만 ‘논술’로 하고 본고사형 문제(정답을 요구하는 문제)를 낸 비율도 90.3%에 달했다. 건국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양대는 자연계 논술 문항 전체가 본고사형이었다.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대입 전형에서 논술 등 대학별 고사를 실시하는 경우 고교 교육과정 범위와 수준을 벗어난 내용을 출제 또는 평가해서는 안 된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관계자는 “교육부는 시민단체 합동 검증위원회를 구성하고 법을 위반한 대학에 엄중한 행정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회뉴스]
☞
☞
☞
☞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연세대 논술 절반이상 ‘선행 출제’… 수학은 전부
입력 2016-07-05 18:20 수정 2016-07-05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