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문학관 이어 이번엔 철도박물관 유치 경쟁

입력 2016-07-04 21:04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와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중단에 이은 올해 3번째 1000억원 규모의 국책사업으로 꼽히는 국립철도박물관 유치를 놓고 지자체들이 또다시 치열한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막무가내식 경쟁에 따른 소모적인 논란과 지역 이기주의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

4일 충북 청주시에 따르면 철도박물관 유치전에 뛰어든 지자체는 충북 청주, 대전, 세종, 경기도 의왕, 부산, 울산, 강원도 원주, 경북 포항, 경남 창원, 전북 군산, 전남 나주 등 11곳에 달한다. 이들 지자체는 대규모 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수십만명이 참여하는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유치전에 사활을 걸고 있다. 신공항과 국립한국문학관 유치 과정에서 벌어진 폐단이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청주시는 이날 충북 도민 61만7076명이 참여한 철도박물관 유치 서명부를 국토교통부에 전달했다. 시는 흥덕구 오송읍 7만2000㎡ 부지에 철도박물관을 건립할 계획이다. 후보지인 흥덕구 오송읍은 철도종합시험선로와 철도완성차안전연구시설 등이 들어선다. 오송은 국가 철도 X축의 중심이며 경부·호남 고속철도의 분기역이다. 오송은 2014년 12월 국토부 국립철도박물관 건립 기본구상 연구에서 최상위 등급을 받았다.

대전시도 최근 시민 55만654명이 참여한 서명부를 국토부에 전달했다. 대전은 대전역 일원에 한국철도산업의 과거·현재·미래 전시관과 선상공원으로 꾸민 박물관 1관을 건립하고, 인근 중촌근린공원에 글로벌 철도테마파크와 순환열차 등으로 구성된 박물관 2관을 각각 세운다는 계획을 세웠다.

원주시는 2019년 폐선되는 중앙선의 철도시설 활용방안으로 철도박물관 유치에 나섰다. 신청 대상지는 학성동 현 원주역사 부지 6만2900㎡로 철로와 시설물 등을 그대로 활용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현장실사 등을 거쳐 올해 말까지 철도박물관 최종 후보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철도 문화재의 체계적인 활용과 관리 등을 위해 국비 1007억원을 투입, 2020년까지 철도박물관을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철도박물관은 철도의 발전과정과 미래상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철도산업 과학기술관, 철도역사 문화 전시관, 어린이 철도 테마파크, 철도입체 체험영상관 등이 들어선다.

이선영(41)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정부의 국책사업 전국 공모는 지자체의 과열 경쟁을 유도하고 지역 간 분열만 초래하고 있다”며 “정부는 연구용역을 통해 사전 심사를 실시하는 등 국책사업 추진 방식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전국종합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