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전당대회 출마자들이 계파 갈등을 총선 참패의 원인으로 꼽으며 일제히 책임론을 꺼내들었다. 실명은 거론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친박(친박근혜) 좌장격인 최경환 의원의 불출마를 압박하기 위한 견제구 성격이 짙다.
이주영 의원은 4일 오전 라디오에 나와 “총선 패배의 큰 원인이 계파싸움이었는데 아직도 계파 타령이 난무한다. 고치기 힘든 병증”이라며 “중증 질환을 모조리 드러내는 대수술을 해야 되는데, 제가 그 집도의가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계파적인 차원에서 ‘친박 후보단일화’ ‘비박(비박근혜) 후보단일화’ 이렇게 계파대결 대리전으로 몰고 가는 건 당원과 국민 열망에 어긋나는 일”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책임 있는 분들은 자숙하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최 의원, 원유철 전 원내대표 등을 지칭하느냐는 질문에는 “본인들이 잘 판단할 문제”라고 했다.
김용태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을 이 지경으로 만든 게 바로 유일계파인 ‘친박’의 책임이라고 확신한다”며 “혁신의 힘으로 당대표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는 당청관계에 대해서도 “예전처럼 수직적 당청관계로 원만한 게 능사라고 생각하는 것은 완전 오산”이라고 지적했다. 이정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대표가 파벌의 선두에 서면 당은 벼랑 끝으로 추락하고 만다”며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되고, 누군가는 사전 조정해서 누가 나가고, 누구는 들어가서는 안 될 것”이라고 했다.
계파 청산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모두 최 의원 출마 여부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최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으로 꼽히는 만큼 그의 출마 여부를 전당대회 최대 변수로 여긴다는 뜻이다. 당내 최대 세력인 ‘친박’의 표심을 흩뜨려놓겠다는 의도도 읽힌다.
당내에선 최 의원이 6일 예정된 의원총회 이후 주후반쯤 자신의 출마 여부를 밝힐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의총은 집단지도체제 변경 문제나 모바일 투표 도입 문제 등 전대 핵심 룰을 다룰 예정이어서 전대구도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
최 의원은 선택의 딜레마에 빠졌다. 그는 여러 차례 사석에서 “개인만 생각하면 나서고 싶지 않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혔다고 한다. 그러나 최 의원의 불출마는 그 자체로 레임덕의 시작으로 평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당내에서는 유승민 의원 복당과 전당대회 출마자 교통정리 실패 등으로 이미 친박계 분화가 시작됐다는 말까지 나온다. 한 친박계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자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친박 책임론만 거론하는 상황인데 가만있을 수는 없다”고 했다.
[정치뉴스]
☞
☞
☞
☞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與 ‘총선 참패 책임론’ 전당대회 핵 이슈 부상
입력 2016-07-05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