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지난해 경영실적 관련 임원 성과급을 전액 반납키로 한 것을 보며 뒷맛이 개운치 않다. 최근 전·현직 수장들의 발언을 보면 ‘잘못한 건 없는데 비판여론에 밀려 성과급을 반납한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산은은 2일 보도자료를 내고 “2015년 금융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결과에 따라 홍기택 전 회장 등 4명의 등기임원의 성과급 전액을 반납한다”고 밝혔다. 수은도 이덕훈 행장 등 상임임원 5명의 성과급 전액을 반납키로 했다.
이들의 성과급이 도마에 오른 것은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30일 평소 잘 공개하지 않던 금융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결과에서 국책은행 성적을 발표하면서부터다. 두 은행은 전년보다 1∼2등급 내려간 C등급을 받았지만, 기관장과 임원은 기본급의 30∼55%를 성과급으로 챙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논란이 일자 서둘러 이를 봉합했다.
하지만 어느덧 ‘정기 이벤트’로 자리잡은 국책은행 전·현직 임원들의 ‘보수 반납 행렬’에서 일관성을 찾기는 어렵다. ‘국책은행은 잘못한 게 별로 없지만 성과급은 반납하겠다’는 앞뒤가 맞지 않는 설명 탓이다. 이 행장은 지난달 30일 국회 기획재정위 업무보고에서 조선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서도 실적을 부풀려 보고했다는 지적에 대해 “특별히 잘못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가 의원들의 질타를 받았다. 홍 전 회장도 최근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대우조선 지원 결정은 청와대 서별관회의에서 했고, 산은은 들러리 역할만 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반면 국책은행의 잘못이 크다고 볼 때 기관장 등 임원 9명의 성과급 반납은 어정쩡한 미봉책에 가깝다. 국책은행들은 ‘대우조선 사태 등에 대한 책임 통감’(산업은행), ‘성공적 조선업 구조조정을 위한 의지의 표현’(수출입은행)이라고 했는데 설득력은 떨어져 보인다.
[경제뉴스]
☞
☞
☞
☞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현장기자-백상진] 여론 뭇매에… 국책은행 수장들 성과급 반납
입력 2016-07-03 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