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스캔들’ 힐러리, FBI 직접 조사 받아

입력 2016-07-04 04:00

미국 민주당의 사실상 대선후보인 힐러리 클린턴(왼쪽 사진) 전 국무장관이 장관 재직 시절 보안이 허술한 개인 이메일을 사용한 문제와 관련해 연방수사국(FBI)으로부터 직접 조사를 받았다. 클린턴은 2일(현지시간) NBC방송의 ‘언론과의 만남(Meet the Press)’ 프로그램과 인터뷰를 갖고 이날 오전 3시간30분간 이메일 게이트 때문에 워싱턴 FBI 본부에서 조사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전부터 직접 조사를 받으려 애썼다”면서 “조사를 마치는 데 도움을 주게 돼 기쁘다”고 했다.

클린턴 선거운동본부도 이날 성명을 발표하고 “클린턴이 오전 자발적으로 FBI 조사를 받았다”면서 “조사 과정을 존중한다는 차원에서 더 이상 이 내용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클린턴의 이메일 스캔들은 그가 국무장관으로 일하던 2009년부터 4년간 보안이 취약하다고 여겨지는 개인 이메일 서버를 이용해 업무상 문건을 주고받은 일을 말한다. 관용 이메일 계정을 사용하지 않은 데다 언제든 이메일 내용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국무부 서버에 저장해야 하는 연방기록법을 어긴 것이 문제가 됐다. 미 국무부가 지난 1월 약 3만건의 개인 이메일을 공개하면서 22건은 ‘1급 비밀 범주에 해당하는 내용’이어서 공개하지 않겠다고 발표해 논란이 커졌다. 개인적인 내용이라며 이메일 3만건은 삭제한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했다. 공화당은 이 문제를 조사하기 위한 특별검사 도입을 요구해 왔고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는 “이메일 문제로 감옥에 가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FBI는 지난해 7월부터 클린턴의 개인 이메일 사용 문제를 조사해 왔다. 현지 언론은 민주당 전당대회를 20여일, 대선을 4개월 앞둔 시점에서 이메일 스캔들 조사가 마무리 수순에 들어간 것이라며 ‘최적의 조사 시점’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남편인 빌 클린턴(오른쪽)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애리조나주 피닉스 스카이하버 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로레타 린치 법무장관과 회동한 사실이 드러난 지 5일 만에 전격적인 조사가 벌어지면서 수사 독립성에 의구심을 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트럼프는 이날 트위터에서 “빌이 한 것은 멍청한 짓이었다”며 “이번 사건 조사과정은 철저히 조작됐다”고 비난했다. 지난 1일 클린턴 전 대통령의 회동 사실이 알려진 후에는 “이 회동은 힐러리의 요청으로 이뤄졌을 것”이라고 공격했다.

당사자들은 해명에 나섰다. CNN방송은 “클린턴 전 대통령이 린치 장관과의 만남을 후회하고 있다고 했다”며 보좌진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린치 장관도 “클린턴 전 대통령과 회동은 잘못됐다. 당시 회동에서 이메일 관련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월드뉴스 보기]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