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이 비대위원을 우선 당내 인사로 구성키로 결정하는 등 ‘박지원 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비대위 체제 초기 외부 인사들의 당 개입 여지를 차단하는 한편 정당 업무에 익숙한 ‘검증된’ 인물 중심으로 빠르게 조직 정비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박 위원장은 1일 국회에서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를 열어 다음주 초까지 10명 이내로 비대위원을 인선해 발표하기로 했다.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당내 인사를 중심으로 비대위원을 1차로 인선할 예정”이라며 “(당내 인사 중심의 비대위 아래서) 당의 골격을 갖추는 작업을 마무리하고 2차로 외부 인사를 영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이 당내 인사 중심으로 비대위를 꾸리려는 이유는 당 조직 정비가 최우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박 위원장이 “지금은 외부 인사를 들여 혁신을 논할 때가 아니다. 내년 전당대회와 대선을 차질 없이 준비하려면 역설적으로 당 조직, 즉 ‘구정치’ ‘하드웨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시각도 있다. 위원장이 비대위를 속도감 있게 이끌고 가야 하는데, 뜻이 맞지 않는 외부 인사가 비대위원이 될 경우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연석회의에서 비대위원장·원내대표 업무 겸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지만 박 위원장은 “당의 골격을 세우는 작업을 마무리할 때까지는 현재 (원톱) 체제를 유지하겠다”며 일축했다.
당내 ‘손학규 영입론’은 더 확대되는 양상이다. 지도부 차원에서 영입을 추진하겠다는 등 ‘러브콜’의 강도도 강해지고 있다. 김동철 의원은 최고위·중진 연석회의에서 손학규 전 더불어민주당 고문 영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학규계로 분류되는 김성식 정책위의장도 SBS라디오에 나와 “(손 전 고문은) 정치혁명의 에너지를 갖고 계신 분”이라며 “국민의당에 좋은 분이 함께한다면 안 전 대표도 좋아할 것”이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한 종편 프로그램에 출연해 “안철수 손학규 천정배 등 대권 후보들이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필드를 만들겠다”고 했다.
[정치뉴스]
☞
☞
☞
☞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 추진력 제일주의… 비대위원 10여명 당내 인사로 내주 초 구성
입력 2016-07-01 17:52 수정 2016-07-01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