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책사업 성공보다 지역이익 앞세운 TK 정치인

입력 2016-07-01 18:32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이 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둘러싼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각각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민 부산과 울산·경남은 정부 방침을 수용한 반면 대구·경북이 선정 과정의 의혹을 제기하며 반발하고 있어서다. 급기야 윤재옥 대구시당 위원장을 비롯한 새누리당 대구지역 의원들과 권영진 대구시장은 1일 국회에서 긴급 모임을 갖고 ‘김해 신공항 불복 성명서’를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신공항 용역에 대한 검증이 끝나기 전에는 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해 수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선언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인 대구·경북에서, 그것도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과 단체장이 이미 결정된 대형 국책사업에 제동을 걸고 나선 건 상상하기 힘든 일이다. 박 대통령이 지난달 22일 “김해공항을 신공항급으로 확장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결론내렸다”며 수용을 촉구했음에도 약발이 전혀 먹히질 않고 있다. 심지어 진박의 핵심인 이 지역 조원진 의원마저 ‘신공항 백지화는 박근혜정부의 큰 잘못’이라고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임기 말은 임기 말인 모양이다.

표를 먹고 사는 국회의원과 시장이 지역이익에 무관심할 수는 없다. 그러나 김해공항 확장은 국론 분열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더욱이 경제적 측면과 효율성 면에서도 최고 점수를 받았다. 부·울·경이 김해공항 확장에 만족해 수용한 게 아니다. 당초 기대에는 크게 미흡하지만 최선은 아니어도 차선은 되기 때문에 받아들인 것이다. 아무리 ‘떼법’을 써도 신공항 부지가 밀양으로 번복되는 일은 상상하기 어렵다. 어느 누구도 그 후유증을 감당하지 못한다는 걸 TK 인사들도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국책사업의 발목을 잡는 행위는 지역이기주의의 극치로, 반대급부를 달라는 시그널이다. 이런 뻔한 수가 통하던 시대는 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