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승강장서 정비 가능해진다

입력 2016-06-30 21:39
지하철 1∼9호선 전체 역사의 스크린도어 센서가 승강장에서도 수리·정비가 가능한 ‘레이저센서’로 2018년까지 전면 교체된다. 선로에서 작업하던 중 발생한 구의역 사망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또 탑승객이 비상탈출 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2021년까지 1∼8호선 역사의 고정문을 언제든지 열고 닫을 수 있는 비상문으로 바꾼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구의역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시는 올해 안에 60억원을 투입해 장애발생이 많았거나 가능성이 높은 2호선 등 총 53개역(스크린도어 3992개)을 레이저센서로 교체한다. 이어 2018년까지 235억원을 투자해 1호선과 3∼9호선 나머지 235개 전체 역(스크린도어 1만5662개)도 단계적으로 레이저센서를 도입한다.

레이저센서는 출입문 기준으로 좌우 한쪽에만 비상문이 있어도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를 정비할 수 있고 장애발생률도 낮은 편이다. 다만 비용이 다른 센서보다 5∼10배 비싸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현재 도시철도공사가 국내 기술로 레이저센서를 개발하고 있고 서울메트로에서는 빛이 아닌 레이더 기술로 물체를 검지하는 레이더센서를 개발 중에 있다”며 “이들 개발이 완료되면 보다 정밀하고 안전한 센서를 현재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도입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크린도어 고정문의 비상문 교체 사업은 서울메트로의 경우 오는 9월부터 15개역, 내년에는 24개역에 대해 실시하고 도시철도공사는 오는 8월부터 82개역 광고판 1093개를 철거한 뒤 내년부터 33개역 고정문 철거 및 비상문 설치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시는 민간위탁업무의 수탁기관이 바뀌어도 종사자의 고용승계를 의무화하고 상시·지속업무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서울시가 비용을 부담해 정규직화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경영효율화 관점에서 민간위탁 비정규직(2년마다 계약)으로 전환된 ‘수도계량기 검침·교체원’ 428명은 7월 중순부터 시설관리공단에서 직접 고용한다.

아울러 안전 관련 외주사업 778개 중 위험도가 높은 업무 74개 가운데 시민·근로자의 생명·안전과 관련이 있고 위험 작업 빈도가 높은 서울시설공단의 ‘전용도로 도로전광표지(VMS) 정비·보수’, 서울의료원의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의료구급차 운영’ ‘위례터널 및 장지 지하차도 관리’ 등 3개 업무는 직영으로 전환한다.

또 시가 시행중인 생활임금제가 민간위탁기관까지 확대 적용된다. 이에 따라 350개 민간위탁 사무 중 생활임금에 미달된 급여를 받고 있는 35개 사무(1480명)에 대해 17개 사무는 올해 7월부터, 나머지는 2017년 1월부터 생활임금제를 도입하도록 추진한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처우가 열악한 돌봄 분야 복지종사자의 직접 고용을 위해 사회서비스재단 설립을 검토 중이다. 또 안전사고, 부실공사, 하도급 근로자 저임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시가 발주하는 건설현장에 적정임금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사회뉴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