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학살 사우디, 유엔인권이사회 회원 안돼”

입력 2016-06-30 18:08 수정 2016-06-30 18:29
아랍연합군의 폭격으로 폐허가 된 예멘의 학교. 국제앰네스티 홈페이지

국제 인권단체들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유엔인권이사회(UNHRC) 회원자격 정지를 촉구하고 나섰다. 사우디가 예멘 내전에 개입해 숱한 민간인 피해를 내고도 전쟁범죄를 저지른 사실을 부인한다는 것이다.

29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휴먼라이츠워치(HRW)와 국제앰네스티는 미국 뉴욕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우디를 인권이사회 회원국에서 제외하도록 유엔 총회를 상대로 로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사우디가 맹주가 된 아랍연합군이 지난해 3월 예멘의 병원, 학교, 시장을 폭격해 민간인이 최소 913명 숨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사우디가 지난해 3월 예멘 내전에 개입한 뒤 민간인을 겨냥해 국제조약에 금지된 집속탄을 사용한 것은 물론 난민 구호물품을 차단하기 위해 항구 접근까지 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UNHRC는 중남미, 동유럽, 서유럽,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5개 지역 47개국이 회원으로 있다. 올해 의장국은 한국으로, 최경림 주제네바 대사가 의장을 맡고 있다.

UNHRC 회원국 자격을 정지하기 위해서는 유엔 총회 투표에서 회원국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 당시 리비아가 인권침해를 이유로 인권이사회에서 축출된 선례가 있다.

두 단체는 지난달 사우디가 유엔 아동인권침해국 명단에서 삭제된 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반 총장은 사우디로부터 유엔 분담금 철회 압력을 받은 사실을 인정하며 명단 삭제가 불가피했다고 해명했으나 사우디는 압력을 넣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월드뉴스 보기]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