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A의원은 전당대회 출마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2억원가량 받았다. 하지만 전대를 치르기엔 어림없는 액수라고 말한다. 그는 30일 “기탁금 8000만원에 30만명이 넘는 책임당원 등에 문자 몇 번만 보내도 비용이 2억원은 훌쩍 넘어간다”고 했다.
최고위원을 지냈던 B의원은 “전대는 말 그대로 ‘돈 선거’”라며 “10억원은 기본이며 선거비용 상한선 2억원을 지키는 후보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몇몇 원외 지역위원장은 지지 의사와 함께 돈을 요구해 ‘자판기’로 불리기도 한다”고 전했다.
당내에선 비상대책위원회가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뽑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기로 뜻을 모은 것에 친박(친박근혜)계가 반발하는 것을 ‘돈 문제’와 결부하는 시각도 있다. 홍문종·유기준 의원 등 친박계 핵심의원들은 비대위안 반대 명분으로 “5∼6명의 출마가 예상되는데 비대위 안대로라면 30% 미만의 지지를 얻은 당대표가 탄생할 수 있어 대표성 논란이 일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하지만 진짜 반대 이유는 수억원 이상 돈을 쓰고도 최고위원 자리 하나 못 건지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될 수 있어서라는 분석도 나온다. 1인2표 방식에선 최다 득표로 당대표가 되지 못하더라도 순위 안에 들면 최고위원으로 선출될 수 있었다. 하지만 비대위안은 1인1표 방식의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만 당대표로 지도부에 들어갈 수 있다. 특히 지난 전대보다 책임당원 등 선거인단이 10만명 이상 늘어난 30만명에 육박한다는 점에서 선거 비용 부담은 더 늘어난 상황이다.
당 관계자는 “최고위원에 입후보하기엔 ‘면’이 서지 않고 그렇다고 계파 내 교통정리도 안 된 상황에서 당대표에 출마했다가 돈만 날릴 수 있다는 점에서 고민하는 중진이 꽤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검찰 수사로 이어지는 ‘돈 선거’의 폐해가 계속돼 왔다는 점에서 20대 국회 첫 전당대회는 선거 비용을 파격적으로 절감하는 혁신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관련기사 보기]
☞
☞
☞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새누리 친박, 당대표·최고위원 분리 반대 왜?
입력 2016-06-30 17:58 수정 2016-06-30 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