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 1∼3당 모두 ‘임시 지도부’… 야권 재편 속도

입력 2016-06-30 04:05
국민의당 안철수 천정배 공동대표가 29일 사퇴하면서 원내 1∼3당이 모두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인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원내교섭단체 3곳 모두 임시 지도부 상태가 되면서 주요 쟁점법안 및 정책 관련 여야 협상이 동력을 얻기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안 대표가 정치적 타격을 입으면서 야권 재편에도 속도가 붙게 됐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여야 3당의 ‘선출된 지도부’가 지난 6개월 내 모두 퇴진하면서 당분간 정국 혼란이 불가피하다. 새누리당은 4·13총선 참패 후폭풍으로 김무성 전 대표 등 지도부가 총사퇴했다. 지난달 30일에야 혁신비대위를 출범시켰지만 유승민 의원 복당 문제로 내홍을 겪었다. 지난 1월 당내 갈등으로 문재인 전 대표가 물러나며 비대위 체제에 돌입한 더민주 역시 20대 총선 공천과 전당대회 개최 문제 등을 놓고 극심한 진통을 반복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국민의당까지 비대위 체제로 전환되면서 여야가 공언했던 ‘일하는 국회’는 실현이 더욱 어려워졌다. 20대 총선에서 ‘여소야대(與小野大)’ 국면을 만들었던 더민주와 국민의당의 ‘대여(對與) 공조’ 틀도 느슨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한 더민주 중진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비대위 체제에서는 여야 협상에 대한 책임성과 일관성을 기대하기 힘들다”며 “국회 공전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했다. 한 야권 관계자도 “여야 지도부가 합의해야 하는 쟁점법안과 국정 현안 논의는 협상의 한 축인 국민의당의 불확실성 탓에 동력이 현저히 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장 정례화하기로 한 청와대와 여야 지도부 회동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3당 비대위원장이 테이블에 앉는 모습이 연출될 수 있다. 또 각 당이 새 지도부 선출 과정에서 당내 계파 갈등이 폭발할 경우 정국경색 국면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야권 재편도 가속될 전망이다. 국민의당 안팎에선 당장 손학규 전 더민주 상임고문의 ‘구원등판론’이 거론됐다. 그러나 손 전 고문 측은 “안 대표가 대표직에서 물러나도 국민의당은 여전히 ‘안철수당(黨)’일 텐데 손 전 고문이 그곳에서 무슨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조만간 상경할 예정인 손 전 고문은 야권 통합을 통한 ‘새 판 짜기’와 ‘개헌’ 국면에서의 역할 등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 정동영 의원도 30일 국회에서 경제적 약자를 위한 직접시공제 도입과 일자리정책을 주제로 긴급토론회를 개최키로 하는 등 중앙정치 행보에 나섰다. 더민주 김부겸 의원과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 등 중도 성향 대권 잠룡들의 운신의 폭도 넓어졌다.

국민의당 호남 의원들이 이탈할 경우 야권 재편의 폭은 훨씬 넓어질 수 있다. 국민의당에 대한 호남 민심 이반이 가시화되면 집단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수도권 야당 의원은 “결국 야권 재편은 누가 호남 민심을 잡느냐에 달렸다”고 했다.

[관련기사 보기]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