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등 지자체들이 조선·해운업종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위기 극복을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부산시는 조선·해운업계 구조조정에 따른 실직자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고용안정 및 실업대책’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고 29일 밝혔다.
부산의 경우 조선소 32개사, 기자재업체 449개사 등에 모두 2만5000여명의 근로자들이 종사하고 있다. 이들은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여파로 올해 말부터 인력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고용안정지원에 중점을 두고 위기 대응체계 구축,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및 신속 지원, 맞춤형 일자리사업 추진, 기업 자금지원 확대 등 4대 분야 11개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위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지역의 고용관련 민·관 네트워크를 총망라한 ‘고용안정지원대책반’을 다음 달부터 본격 가동한다. 또 ‘조선업종 퇴직자 지원창구’ 설치·운영, ‘일자리소통관(1기업 1공무원)’ 배치, 고용디자이너 16명 밀착서비스 제공, ‘일자리지원센터’ 개소 등을 통해 맞춤형 취·창업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기업의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중소기업운전자금 규모를 200억원으로 확대하고, 최대 2억원의 긴급운전자금 보증을 위해 300억원의 특례보증지원, 조선·해운업체 실직자 중 소자본 창업자에 대해서는 신용등급과 관계없이 5000만원까지 신용대출 등도 추진한다.
경남 거제시는 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조선산업 위기극복 종합대책본부’를 운영하면서 각종 경제지표 분석을 통해 단계별·부서별 대응전략을 수립하기로 했다.
주요 점검 경제지표는 인구 및 자영업 증감, 카드매출 등 지역경제 지표와 수주잔량, 근로자 및 협력업체 수, 조선업체 경영 현황 등 모두 19개다.
시는 현장 점검반을 편성해 매주 한 차례 시장 및 상점가를 방문해 모니터링을 하고 부서 간 정보 공유와 지표분석을 통해 위기 정도를 판단, 실현 가능한 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동시에 중소기업 육성기금 지원확대, 세제 감면 및 징수유예 등 중소기업 지원대책과 거제사랑상품권 발급확대, 소상공인 육성자금 지원 등 소상공인 지원, 공공일자리사업 등도 추진한다.
울산시는 조선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실직자 재취업 교육, 창업 지원 등에 나서고 있다. 시는 조선산업 위기 대응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실직자를 대상으로 한 재취업교육 및 창업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공공근로와 지방하천 관리 등 27개 일자리 사업에 92억원을 지원해 근로를 희망하는 조선업 등 실직자 2000명에게 임시 일자리를 제공한다.
시는 앞서 침체된 동구지역 경기 회복과 울산지역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대중공업이 있는 동구에 예비비 10억원을 긴급 지원했다.
[사회뉴스]
☞
☞
☞
☞
부산·거제·울산=윤봉학 이영재 조원일 기자 bhyoon@kmib.co.kr
조선·해운업 위기 극복 팔 걷은 지자체들
입력 2016-06-30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