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별로 별도 운영했던 21개 신고 및 민원전화가 119(재난), 112(범죄), 110(민원상담) 등 3개 번호로 통합된다.
국민안전처는 이 같은 내용의 긴급신고전화 통합 서비스를 다음 달 1일 광주·전남·제주 등 3개 지역에서 시범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오는 15일부터는 시범 서비스 지역이 전국으로 확대되고 10월 말에는 전국에서 전면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통합대상 신고전화는 경찰청의 182(미아신고), 환경부의 128(환경오염), 여성가족부의 1366(여성폭력), 식품의약품안전처의 1399(불량식품), 한국전력공사의 123(전기) 등 15개 기관 21개다.
안전처는 신고전화를 부처별로 제각각 운영하고 있고 119나 112에 전화가 잘못 걸려와 신속한 출동을 방해하는 문제 등이 있어 신고전화를 통합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긴급대응이 필요한 신고전화는 119(재난)와 112(범죄)로 통합된다. 해양사고 긴급신고전화 122는 119에 통합됐다. 민원상담전화는 110으로 분리돼 운영된다. 110으로 걸려온 긴급신고전화는 반복해서 설명하지 않아도 정보공유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소관 기관으로 이관된다. 신고전화가 3개로 통합되지만 기관별 신고전화번호와 상담센터는 병행해서 운영된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긴급신고전화 통합 7월1일 시범 서비스
입력 2016-06-29 18:10 수정 2016-06-29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