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野의원들 “물러나라” 집중포화에 박승춘 “해임 결의 대상 아니다” 맞서

입력 2016-06-29 00:00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왼쪽)이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 박 처장은 의원들의 거센 압박에도 자진 사퇴를 거부했다. 오른쪽은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 이동희 기자

야권이 28일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에게 ‘자진 사퇴’를 요구하며 면전에서 집중포화를 가했다. 박 처장은 “(자신은) 해임 결의 대상이 아니다”며 맞섰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야당 의원들은 국회 본회의(7월 6일)에서 박 처장에 대한 해임촉구결의안을 처리하겠다며 박 처장을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두 의원은 “박 처장 해임촉구결의안 통과가 확실시되고 있다. 국민적 상식으로 볼 때 표결에 순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회의 결정은 국민을 대신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도 “박 처장이 사퇴해 국민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갖는 것이 타당하다”며 지원사격했다.

박 처장은 강경한 자세를 고수했다. 그는 “저는 (국회) 해임 결의 대상이 아니다”며 “주어진 소임과 직책에 최선을 다해왔다. 제가 업무 때문에 사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많은 국민의 생각은 국회의 생각과 다를 수 있다”고도 해 야당 의원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박 처장은 또 국가보훈처의 정치적 중립성 논란 대응을 위해 변호사를 선임했다는 더민주 김해영 의원의 문제제기를 부인하는 과정에서 자료 출처를 추궁하기도 했다. 이날 국가보훈처 업무보고는 야당 의원들의 강력 반발 속에 서면보고로 대체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공방이 이어졌다. 야당 의원들은 역사교과서의 집필진 명단 공개를 요구했지만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집필환경이 어려워져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은 유성엽 교문위원장이 집필기준을 묻자 “예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니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취지로 답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도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기한 연장 문제로 진통을 겪었다. 야당은 특조위 활동 기한을 최소한 연말까지로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예산 배정일이나 시행령 제정 시점을 기산점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면서도 “여야 협의로 결정하면 정부가 존중하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관련기사 보기]




최승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