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김수민·박선숙 기소되면 당원권 정지”

입력 2016-06-28 18:23 수정 2016-06-28 21:44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왼쪽)와 박지원 원내대표가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0차 정책역량 강화 워크숍에서 심각한 표정으로 앉아 있다. 안 대표가 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선 '지도부 일괄 사퇴' 또는 본인의 정치적 결단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동희 기자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가 28일 ‘4·13총선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 사건’에 연루된 박선숙 김수민 의원이 검찰에 기소되면 당헌·당규에 따라 즉시 당원권을 정지하겠다고 밝혔다.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구속되자 하루 종일 대응책 마련에 부심했지만 국민의당은 결국 당헌·당규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하겠다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했다.

안 대표는 이날 오후 의원총회 직후 직접 리베이트 의혹 사건 관련 브리핑을 자청해 “국민의당의 당헌·당규는 어느 당보다도 엄격한 기준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며 “이번 사건의 사법적 판단 결과에 따라 한 점의 관용도 없이 엄격하게 처리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당 당헌 11조에는 ‘불법 정치자금 수수 등 부정부패와 관련된 자는 기소와 동시에 당원권을 정지한다’고 적시돼 있다.

안 대표는 “이번 사건이 사회적 논란이 되고 당직자가 구속돼 국민 여러분께 큰 걱정 끼친 점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당 대표로서 뼈아픈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사과했다. 이어 “국민의당은 기성 정당의 관습을 타파할 것이라는 기대가 컸기 때문에 국민들의 실망감은 더 클 것이다.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와 의총을 각각 두 차례나 개최해 대응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박 의원과 김 의원에 대한 제명 조치 등을 주장했다. 그러나 당내 의원 대다수는 의총에서 “당헌·당규에 따라 원칙대로 하자”며 반대했다고 한다. 특히 안 대표는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며 대표직 사퇴까지 시사했지만 이에 대해서도 의원들이 부정적 입장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은 안 대표의 정치적 책임 문제에 대해서는 이날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않고 29일 최고위에서 재논의키로 했다. 당원 비위를 처벌할 구체적인 절차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윤리위원회 등 관련 당내 기구를 구성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최고위 논의를 거칠 예정이다.

한편 검찰은 구속된 왕 부총장을 상대로 리베이트 사건 관련 당사자들의 공모 여부를 밝히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다만 왕 부총장은 전날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 등 검찰 조사에서 혐의 대부분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보기]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