勢과시 대신 ‘경제’ 열공… 여야 연구모임 달라졌다

입력 2016-06-29 04:00
20대 국회에서 여야 의원들이 참여하는 경제 공부 모임이 줄줄이 출범하고 있다. 국내 경기 침체에다 최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등으로 대내외 경제 변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내년 대선의 키워드로 경제 이슈가 꼽히는 점도 이런 움직임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도 있다.

국회에 국회의원 연구단체로 등록 신청한 단체는 28일 기준 45개다. 이 중 단체명에 ‘경제’라는 단어를 표기했거나 경제 전략, 미래산업 분야를 다루는 단체는 19개다.

이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이 주도하는 ‘한국적 제3의 길’은 이날 국회에서 창립 행사를 열고 정운찬 전 국무총리의 특강을 들었다. 정 전 총리는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경제민주화와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의 공정성장론에 대해 각각 “한계가 있다. 이들 정책의 성과가 지속 가능할지는 회의적”이라고 지적하면서 대안으로 동반성장론을 거듭 주장했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는 특강을 들은 뒤 “(대기업이) 초과이익을 공유했을 때 세금은 감면해주느냐”고 질문을 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 정 전 총리는 “세무조사를 2년간 면제해준다든지 인센티브를 줘 따라오도록 하자는 아이디어도 있었다”고 대답했다.

최근 발족한 ‘경제재정연구포럼’에는 여야 3당 정책위의장 등 76명이 대거 참여했다. 첫 세미나에서 세제개편 문제를 다루려 했으나 브렉시트 파장 및 대책 등으로 주제를 바꿀 예정이다. 이 단체 공동대표인 국민의당 장병완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까지 여당은 주로 정부 입장을 대변하고, 야당은 이에 반대하면서 대립해 왔지만 이제는 양쪽 다 일방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민생경제에 힘을 모으자는 취지로 단체를 만든 것”이라고 했다.

이밖에 29일 각각 출범하는 ‘어젠다2050’과 ‘국회 미래 일자리와 교육 포럼’이 경제·사회 변화에 초점을 맞춘 정책 개발 및 입법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새누리당 내 의원 모임인 경제민주화실천모임도 30일 1박2일 일정으로 부산에서 세미나를 열기로 했다. 이혜훈 김세연 의원 등 유승민 의원과 가까운 의원을 주축으로 한 이 모임은 유 의원과 측근 의원들의 공천 탈락 등으로 공개 활동을 자제하다 최근 정치적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

이들 움직임은 과거 특정 정파나 유력 정치인의 세(勢)를 넓히려는 모임이 주목을 받았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정치권에선 ‘일하는 국회’를 만드는 데 긍정적이라는 평이 나오지만 ‘정책 공조’로까지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야권 관계자는 “여야가 머리를 맞대는 기회가 많아진 점은 바람직하지만 법인세 인상 여부 등 여야의 입장차가 극명하게 갈리는 부분에 대해선 논쟁만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새누리당 한 중진 의원은 “사회적 격차 해소나 공정사회 같은 주제는 국민적 관심도가 높고 다음 대선에서 핵심 이슈가 될 수 있어 의원들이 주목할 수밖에 없는 문제”라고 했다.

[관련기사 보기]




[관련기사 보기]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