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지도’ 재심사도 불합격

입력 2016-06-28 18:25 수정 2016-06-28 20:45
동북아역사재단은 동북아역사지도가 재심사에서도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중국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응할 목적으로 연세대·서강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2008년부터 8년에 걸쳐 45억여원의 세금을 들여 추진해온 동북아역사지도 편찬 사업이 최종 실패로 결정된 것이다. 재단은 사업 실패의 책임을 물어 사업 담당자들에게 감봉 3개월 등 징계를 내렸으며, 조직을 신설해 동북아역사지도를 다시 제작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동북아역사지도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의 강역을 시대별로 표기한 지도다. 연세대·서강대 산학협력단은 지난해 11월 동북아역사지도를 완성했으나 부실 판정을 받았고, 보완작업을 거쳐 올해 4월 재차 제출했으나 또다시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재단 측은 한반도가 지도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독도를 표시하지 않는 등 지도학적 문제가 보완되지 않았고, 영토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국경을 실선으로 그어 외교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점 등이 불합격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동북아역사지도에서 낙랑군을 한반도 내부 북쪽에 표시해 재야 역사학계와 국회로부터 역사 왜곡이라며 거센 비판을 받아온 점이 이번 폐기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