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남상태 영장 청구 방침… 다음 타깃 ‘비호세력’

입력 2016-06-27 19:01 수정 2016-06-27 21:30
27일 각종 비리 의혹으로 정·재계 인사들이 잇따라 검찰에 소환됐다. 남상태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출석하고 있다. 서영희 기자

검찰이 남상태(66)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에 대해 10억원대 뒷돈 수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키로 했다. 본격 수사 착수 20일 만에 대우조선 비리의 정점에 선 인물까지 다다른 것이다. 검찰은 ‘남상태 대우조선’의 경영 비리와 이를 비호한 정치·금융권력으로까지 순차적으로 수사를 확대해갈 방침이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27일 남 전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심야까지 조사했다. 지난정부 때부터 수차례 수사설이 불거졌던 그가 직접 검찰에 불려나온 건 처음이다. 검찰은 남 전 사장의 개인 비리 혐의 상당 부분을 확인한 상태에서 사법처리 마지막 수순으로 그를 소환했다. 김수남 검찰총장의 재가를 받아 이르면 28일 배임수재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할 계획이다.

검찰은 남 전 사장이 대표 권한을 악용해 친구 소유 업체 등에 사업상 특혜를 주고 대가를 챙겨온 것으로 파악했다. 그는 대우조선해양의 자회사가 2009년 10월 인수한 부산국제물류(BIDC)의 지분을 외국인 이름으로 차명 매입한 뒤 3억원가량의 배당금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BIDC의 2대 주주이자 남 전 사장의 대학 동창인 정준택(65) 휴맥스해운항공 회장은 앞서 지난 17일 구속됐다. 남 전 사장은 정씨가 대주주인 업체와 해상운송 위탁 계약을 맺으면서 과도하게 비싼 운임을 지급하기도 했다. 검찰은 남 전 사장과 정씨가 사업 수익을 일상적으로 공유하는 ‘스폰서 관계’인 것으로 보고 있다. 정씨를 비롯해 협력업체 관계자들로부터 남 전 사장이 챙긴 뒷돈 규모는 10억원 이상이라는 게 검찰 판단이다.

검찰은 남 전 사장 구속영장 청구 단계에서는 증거가 비교적 명백한 배임수재 혐의를 주로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수백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횡령·배임 혐의 수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그의 ‘자금 관리인’ 의혹이 있는 건축가 이창하(60)씨 소환도 임박했다.

2006부터 6년간 대우조선 최고경영자를 지낸 남 전 사장은 대규모 분식회계와 부실 은폐의 주범으로도 꼽힌다. 검찰은 그의 뒤를 이어 2012∼2015년 회사를 이끌었던 고재호(61) 전 사장도 조만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경영비리 책임자들에 대한 신병 처리가 마무리되면 대우조선과 유착한 정·관계 인사, 금융 당국 고위층 등으로 수사 범위가 넓어질 공산이 크다. 검찰 관계자는 “남 전 사장의 (뒷돈 수수 관련) 위중한 혐의가 나왔다. 이 부분 매듭을 짓고 다음 단계 조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보기]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