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파탄 지원 절실”… 설악권 4개 시·군 번영회 요구

입력 2016-06-27 20:57
강원도 고성·속초·양양·인제 등 설악권 4개 시·군 번영회장단이 27일 고성군청에서 금강산 관광 중단 피해보상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고성군 제공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지 8년이 가까워지는 가운데 강원도 고성·속초·양양·인제 등 설악권 4개 시·군 번영회가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고성군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힘을 보태기로 했다.

이강훈 고성군번영회장, 윤광훈 속초시번영회장, 정준화 양양군번영회장, 박응삼 인제군번영회장 등 설악권 4개 시·군 번영회장은 27일 오전 11시 고성군청에서 ‘금강산 육로관광 중단 피해보상 촉구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서를 통해 “금강산 관광 중단으로 고성이 입은 직·간접적 경제적 손실이 3000억원에 달하고 지속적인 경기침체로 지역경제는 파탄에 이르렀다”며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고성에 대해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금강산 관광중단 피해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과 금강산 관광중단 피해에 상응하는 특별교부세(월 32억원)를 지원해 줄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또 남북 고성지역을 남북 주민이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는 ‘통일교류 촉진지역’으로 조성해 줄 것과 통일전망대, DMZ박물관 일원을 국민관광지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했다. 접경지역의 교통망 확충을 위해 동해고속도로 속초∼고성 연장사업과 서울∼속초 간 동서고속화철도 사업을 조기 시행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앞서 금강산 관광 중단 피해 대응 고성군 추진위원회는 금강산 중단 피해에 따른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주민 서명부와 건의서를 지난 13일 국무총리실과 청와대, 통일부 등 11곳에 전달했다.

고성군번영회와 고성군의회 등 10개 지역 사회단체는 금강산 관광 중단 장기화에 따른 대책 마련을 위해 지난달 4일 추진위를 구성했다. 추진위는 지난달 13일부터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범국민 서명운동을 전개해 1만1350명으로부터 서명을 받았다.

추진위는 “금강산 관광 중단에 따른 대책 마련을 그동안 수차례 정부에 건의했으나 아무런 조치가 없다”며 “정부는 ‘금강산 육로관광 중단피해 지원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고성지역 경제를 살릴 수 있는 특단의 조치를 취해 달라”고 밝혔다.

추진위는 정부로부터 충분한 답변을 받지 못할 경우 금강산 관광 중단 8주년이 되는 오는 7월 11일 서울 통일부 청사 앞에서 주민 1000여명과 함께 금강산 관광 중단에 따른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궐기대회를 열 계획이다.

2003년 2월 시작된 금강산 육로관광은 2008년 7월 11일 관광객 피살 사건으로 인해 중단됐다. 이에 따른 고성 지역경제 손실액은 3000억원, 휴·폐업한 상가는 414곳에 달한다.

고성=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