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출구전략 찾는 대구] 대구공항 지원·K2 이전 촉구, 정부 결정 검증… 투트랙 전략

입력 2016-06-27 19:18 수정 2016-06-27 21:47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 결정 후 영남권 신공항 가덕도를 주장했던 부산과 밀양을 주장했던 대구·경북·경남·울산이 강한 반발보다는 오히려 출구전략 마련에 골몰하고 하고 있다. 경남과 울산은 일찌감치 정부안 수용 입장을 밝혔다. 경북은 대구와 함께 하기로 했지만 한발 물러선 모습이다. 대구와 함께 반발이 심했던 부산도 27일 정부안 수용을 전격 결정했다. 대구는 겉으로는 김해공항 확장에 대한 용역 검증에 나서겠다고 했지만 한편으로는 실리 챙기기에 나서는 모양새다.

대구시가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 결정에 반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실리 챙기기에 나서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세운 정황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대구공항 지원과 K2(공군기지) 이전 대책을 정부에 요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구시 안팎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경북·경남·울산과 연합해 밀양 입지를 가장 강하게 주장했다. 그래서 반발도 가장 컸다. 대구시는 일단 정부의 결정을 철저히 검증하기로 했다. 전문가들로 검증 태스크포스를 구성했고, 정부에 용역 관련 자료도 요구했다.

하지만 대구시가 출구전략을 고민하고 있는 흔적도 곳곳에서 감지된다. 대구시는 정부 발표 직후 밝힌 입장에서 ‘용역에 대구국제공항 활성화 방안이 들어있지 않은 것은 문제’라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권영진(사진) 시장은 지난 25일 촉구대회에서 “정부는 K2 이전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27일 권영진 시장, 김관용 경북도지사, 대구지역 국회의원들, 지역 인사 등 130여명이 간담회를 가진 뒤 발표한 결의문에서 “정부 확장안이 신공항 대안이라는 객관적인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대구·경북은 수용을 유보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결과 수용 여지를 남겼다는 평가도 있다.

대구시 한 고위 관계자는 “정부 결정에 대한 검증과 함께 실리적인 부분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며 “다양한 출구전략 중에 대구공항 지원이나 K2 이전 문제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한 것 같다”라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