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평균연령은 43.4세로 20년 전에 비해 4.8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지닌 지방공무원의 비율은 약 2배로 늘었다. 같은 기간 여성공무원 수는 배로, 6급 이상 여성관리자는 10배로 늘어나는 등 여성의 진출도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가 26일 발표한 ‘지방자치 20년간 공무원의 주요 인사통계’ 자료를 보면 2015년 지방공무원의 평균연령은 43.4세로 집계됐다. 1995년(38.6세)보다 4.8세, 2005년(40.1세)보다 3.3세 높아진 것이다. 30세 이하 비율은 1995년 25.5%에서 2015년 9.9%로 낮아졌고 50세 이상 비율은 같은 기간 13.9%에서 26.3%로 늘었다. 행자부는 공채시험 연령 제한 폐지와 6급 이하 공무원의 정년연장(2009), 학력 상승에 따른 공무원 진입 연령 지연 등으로 지방공무원의 연령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대학교 이상 졸업 인원은 1995년 10만7203명에서 지난해 23만909명으로 늘었고 석사 이상은 3607명에서 2만2336명으로 급증했다.
신규 채용 인원은 20년 전 1만3770명에서 지난해 1만6155명으로 17.3% 늘었다. 퇴직인원도 1995년에는 9741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 급증으로 1만896명으로 증가했다.
여성공무원은 5만4472명에서 9만9865명으로 83.3% 급증해 전체의 33.7%를 차지했다. 5급 이상 여성공무원은 20년 동안 604명(전체의 3.6%)에서 2535명(11.6%)으로 늘었고, 6급 이상도 2287명(4.2%)에서 2만3306명(25.5%)으로 급증했다.라동철 선임기자
6급 이상 女공무원 10배 늘었지만… 아직도 25%
입력 2016-06-26 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