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냉전 종식 이후 일관되게 진행된 글로벌 시장의 통합과 개방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대 사건이다(임종룡 금융위원장).”
“과거의 금융위기와 성격이 달라 예측이 어렵고, 그 영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 브렉시트가 현실화되자 정부는 26일 긴급회의를 잇달아 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임 위원장은 이날 오후 3시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자본시장 비상점검회의를 열고 “금융시장의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지만 실물경제가 당장 위축되는 것은 아니다”며 차분한 대응을 강조했다.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세계 7위 수준이고, 경상수지도 50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대응 여력이 충분하다고 밝혔다. 다만 “국내 자본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비상대응 계획에 따른 시장안정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오후 6시 외국계 투자은행 관계자 등 시장 전문가들이 참석한 긴급 경제상황점검회의를 주재했다. 그는 “브렉시트는 세계경제 여건이 매우 취약한 상태에서 발생했다”며 “정부는 앞으로 모든 상황을 염두에 두고 근본적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행도 미국 영국 일본 중국의 사무소를 연결해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열었다.
산업부는 “한국과 영국 간 별도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영국이 EU와 탈퇴 협상을 진행하는 향후 2년간 FTA 협상을 진행해나갈 방침이다. EU와의 FTA 개정을 위한 협의도 공식화했다.
정부는 전날부터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했다. 정부 합동점검반은 금융부문 변동성이 실물로 전이되지 않도록 수출 동향 등을 철저히 점검하기로 했다.
한은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와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규모 확대 논의도 불붙게 됐다. 현대경제연구원 홍준표 연구위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브렉시트 충격 완화를 위해 최소 11조5000억원에서 26조6000억원 규모의 추경예산 편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나성원 기자, 세종=이성규 기자
naa@kmib.co.kr
[경제뉴스]
☞
☞
☞
☞
영국과 별도의 FTA 검토
입력 2016-06-26 18:14 수정 2016-06-27 0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