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숙, 6월 27일 檢 앞으로… 국민의당 ‘운명의 날’

입력 2016-06-27 04:02
김성식 국민의당 정책위의장(왼쪽)이 26일 국회에서 브렉시트 대응 정책 제안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오른쪽은 고연호 국민의당 대변인. 구성찬 기자

지난 총선에서 불거진 ‘리베이트’ 의혹에 대한 국민의당의 운명이 27일 갈린다. 앞선 24일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된 왕주현 사무부총장이 법원에서 구속 전 피의자심문(구속영장 실질심사)을 받고, 당시 사무총장이던 박선숙 의원도 검찰에 소환된다. 왕 부총장 구속 여부에 따라 당 차원의 리베이트인지, 홍보업계의 관행에 따른 실무적 문제였는지를 판단할 결정적 기로를 맞게 된다.

정무·정책 두 바퀴 중 정무라인이 붕괴 직전에 이르자 국민의당은 주말 긴급히 ‘브렉시트 점검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키는 등 정책 공세에 당의 사활을 걸고 있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김도균)는 리베이트 수수 의혹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는 박 의원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27일 소환해 조사한다.

검찰은 박 의원을 상대로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었던 브랜드호텔과 B·S사 간 계약 관계, 리베이트성 자금 수수 사실의 인지·지시 여부를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앞선 지난 23일 김 의원도 피고발인 신분으로 조사했으며, 당시 변호인 측은 B·S사로부터의 자금 수수 및 허위 계약서 작성 등은 왕 부총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서부지법은 이날 오전 왕 부총장에 대한 구속영장 실질심사를 열고 구속 여부를 결정한다. 왕 부총장은 브랜드호텔을 둘러싼 계약관계 전반을 관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그동안 왕 부총장이 혐의를 완강히 부인하자 “증거인멸 및 도주 우려가 있다”며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한 상태다. 이날 법원의 판단에 따라 검찰의 수사 확대 여부도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국민의당은 일요일인 26일 김성식 정책위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브렉시트 점검 TF를 출범시키고 정부에 공세적 정책 대응을 주문했다. 김 의장은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산업 구조조정과 브렉시트 후폭풍에 대응하기 위한 신속한 추가경정(추경) 예산 편성, 주식시장 급락 시 ‘일시 공매도 제한’ 등 유동성 확보 방안, 금융기관별 외화자금 수급 및 외환 건전성 점검, 주요 20개국(G20)과의 방어 공조 등을 정부에 제안했다. 그는 “한국은 그동안 ‘스몰 오픈 이코노미’(소규모 개방경제)란 이유로 너무 많은 대가를 지불해왔다”며 “미리 외부에 정책 신호를 줘 상황 악화를 막아야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추경에 대해선 브렉시트로 인한 경제 하방압력, 산업 구조조정으로 서민경제 대책이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만큼 편성이 필요하다고 봤다. 또 G20과의 방어 공조에 대해선 “현재 한국이 G20의 국제금융 실무회의 공동의장”이라며 “이 실무회의에서 글로벌 금융 안정을 위한 국제적 공조 방안을 마련해 G20에 보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TF에 대해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와 천정배 공동대표, 박지원 원내대표 등이 TF의 필요성을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캐스팅 보터’로서 정책 존재감을 확보하기 위한 필사적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보기]






강준구 고승혁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