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지명 변경 바람

입력 2016-06-26 19:45 수정 2016-06-26 22:01

민선6기 이후 지명을 바꾸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일제 잔재와 부정적 어감을 없애고 관광객을 끌어들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개명 등 명분과 이유는 제각각이다.

충남도청 소재지인 홍성군은 ‘홍주(洪州) 지명 되찾기 범군민 운동’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오는 2018년 홍주 지명 탄생 1000년과 시 승격을 앞두고 홍성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해 본래 지명으로 환원하자는 것이다.

군은 이를 위해 홍주 지명 되찾기 범군민 운동본부와 함께 올해 안에 학술세미나를 개최해 지명 변경의 당위성에 대한 공감대를 넓혀가기로 했다. 내년 상반기에는 여론조사 등을 통해 주민들의 찬반 의견을 수렴하게 된다. 군은 현재 지명이 일제에 의해 강제 개명된 만큼 과거의 부끄러운 잔재를 청산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군은 홍주천년 공원조성 등 다양한 기념사업도 벌인다고 덧붙였다.

경북 예천군은 지난 2월 ‘상리면’과 ‘하리면’의 명칭을 관광객 유치와 지역 농산물 판매를 위해 ‘효자면’과 ‘은풍면’으로 변경했다. 상리면은 조선시대 으뜸가는 효자로 ‘명심보감’에 기록된 ‘효자 도시복’의 고장인 점을 활용했다. 명심보감에는 도시복이 한 여름에 홀어머니를 위해 호랑이 등에 타고 얻어온 홍시 이야기가 실려 있다. 곶감으로 유명한 하리면은 지금까지 은풍골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는 사실이 근거가 됐다. 예천군은 과거 상리와 하리로 구분한 지명이 일제가 지역 고유의 역사적 배경을 무시하고 단순히 지리적 위치만 따져 개명한 것으로 추정해왔다.

경북 영덕군은 관광객 유치를 위해 고래불해수욕장으로 잘 알려진 병곡면 명칭을 고래불면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앞서 경기 가평군 ‘하면’도 광복 70주년이던 지난해 12월 같은 맥락에서 100년 만에 원래 지명 ‘조종(朝宗)면’을 되찾는 선포식을 가졌다. 이 곳은 998년 전인 고려 현종9년(1018년)부터 조종현으로 불려오다가 일제강점기인 1914년 하면으로 지명이 바뀌었다. 1만여명의 주민들은 하(下)라는 단어가 갖는 부정적 어감을 없애고 지역의 역사성을 회복하는 의미로 지명을 변경했다. 인천시는 중구·동구·남구·서구 등 방위식(方位式)으로 단순화된 자치구 명칭 바꾸기 작업에 착수했다. 정부 정책에 따라 구(區) 제도가 첫 시행된 것은 1943년 서울부터로 당시 인천은 시청사가 있던 중구를 중심으로 명칭이 부여됐다. 하지만 지난 1985년 시청사가 현 남동구로 이전하면서 구 명칭이 실제 방위와 맞지 않는 모순이 생겼다. 남동구(南洞區)는 방위식 지명이 아닌데도 많은 시민들이 남쪽과 동쪽 사이를 가리키는 남동구(南東區)로 잘못 알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가치 재창조 사업’ 차원에서 올해 안에 우선 동구와 남구 2곳의 자치구 명칭을 바꾸기 위한 법률안을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사회뉴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