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쇼크] “실물경제 영향은 제한적”… 정치권, 차분한 대응 강조

입력 2016-06-24 18:29 수정 2016-06-24 21:39
여야는 24일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brexit)가 결정되자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장을 면밀히 검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국회에서 긴급 현안점검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현안점검 회의에서 브렉시트 여파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2.8%)가 하향 조정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 추가경정예산 편성 여부를 고려 중인 정부는 이번 결정이 추경 편성의 직접적인 검토 요인이 되지 않는다고도 했다. 영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비교적 낮아 영향이 제한적인 데다 정부의 대응 시스템으로 이를 감당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당정은 세계 금융시장의 영향이 우리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24시간 협조체제를 가동키로 했다.

새누리당 김광림 정책위의장은 “우리 수출(실적)에 큰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지만 환율과 금융시장의 부정적 영향이 실물(경제) 쪽으로 옮겨 붙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새누리당 김현아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재정, 통화, 금융정책 분야 등 전방위로 유연성을 발휘해 면밀하게 시장 안정 조치를 고민해야 한다”면서 영국발(發) 경제 리스크 관리를 위한 야당의 초당적 협력도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차분한 대응을 주문했다. 김 대표는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거라고 하는데 경제적 충격이 지속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정부는 괜찮다고만 얘기하지 말고 실상을 제대로 파악해 국민이 쓸데없는 불안 심리를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정치권은 너무 충격적으로 반응을 보일 필요가 없다”고 했다.

국민의당은 국회에서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정부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보지만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크고 국제적 자본 이동도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면서 경제의 불안 요소를 해소하는 데 필요한 정부 대책을 점검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보기]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