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24일 전체회의에서 ‘영남권 신공항’ 신설 대신 김해공항을 확장키로 한 정부 결정에 대해 여야 의원들은 ‘셀프 신공항’이라며 질타를 쏟아냈다.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송구스럽다”면서도 “‘김해 신공항’으로 불러야 한다”고 맞섰다.
영남권 신공항과 관련해 여야 의원들의 성토에는 당적과 지역 구분이 없었다. 야당 의원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입장표명을 촉구하는 등 비판 수위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은 “(정부가) 수년간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지지하는 주민과 지자체 간 갈등을 방치하고 조장했는데, 누구 하나 책임도 사과도 하지 않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셀프 신공항’이라 해도 무색하지 않은데, 대통령도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 출신인 더민주 최인호 의원도 “박 대통령의 명백한 공약 파기”라며 “인천국제공항은 3단계 확장 공사를 했지만 ‘인천 신공항’이 아닌데, 김해공항은 왜 ‘김해 신공항’이라는 억지 논리로 국민을 호도하느냐”고 꼬집었다. 최 의원은 앞서 국토부의 김해공항 ‘V자형’ 활주로 확장 방안이 2012년에 이미 부정적으로 결론 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주호영 의원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6차례 용역연구에서 김해공항 (확장이) 부적합하다는 결정이 내려졌다”며 “국민들은 김해공항 확장 발표에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정종섭 의원도 “김해공항 확장이 어렵기 때문에 신공항 논의가 시작됐는데, 김해공항 확장을 신공항이라 한다면 국민이 납득하겠느냐”고 지적했다. 다만 경남 창원이 지역구인 새누리당 박완수 의원은 “밀양과 가덕도 중 한 곳으로 결정됐다면 후폭풍이 더 컸을 것”이라며 강 장관을 옹호했다.
강 장관은 업무보고 인사말에서 “(영남권 지자체들이) 앞서 합의한 대로 대승적 차원에서 승복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여야 의원들의 지적이 계속되자 “경쟁하다 탈락한 지역은 상당한 아쉬움이 남을 것 같다.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관제탑을 독립적 시설로 확보하는 것인 만큼 ‘김해 신공항’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 지역 여야 의원들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강 장관과 따로 만나 정부 결정에 항의했다.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은 “지역주민을 설득하지 못한 상태에서 ‘국토 균형 발전’이라는 헌법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것은 박근혜정부의 큰 잘못”이라고 따졌다. 더민주 김부겸 의원은 “국민을 속인 꼴이 됐는데 누가 쉽게 납득하겠느냐”고 물었다. 이에 강 장관은 “대구도 대승적 차원에서 수용해 달라”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보기]
☞
☞
☞
☞
☞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국토위, 여야 없이 ‘셀프 신공항’ 질타
입력 2016-06-24 18:04 수정 2016-06-24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