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권성동 사무총장 사퇴 건을 마무리 짓고도 정상화 갈피를 못 잡고 있다. 권 총장 경질에 대한 당내 비판이 거세지면서 비대위의 리더십이 추락한 데다 후임 총장 인선을 놓고 계파 갈등도 다시 부각되는 모양새다. 여권 내부에서는 비대위가 사실상 ‘계파 청산’이라는 혁신의 방향성을 완전히 상실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나경원 의원은 24일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권 총장의 사퇴는 자연스럽지 않고 국민 생각과 괴리가 많이 있다”며 “‘아직도 새누리당 정신 못 차렸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을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는 ‘김희옥 비대위’에 대해서도 “혁신 작업의 밑그림이라도 그려 달라고 (부탁)했었는데 지금은 기대할 게 없다”며 “전당대회 준비 외에 특별히 할 일도 없다”고 꼬집었다. 정병국 의원은 “복당 문제가 왜 이렇게 문제가 돼야 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복당은 잘못된 것을 정상화시킨 과정이어서 더 이상 왈가왈부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김희옥 비대위원장은 후임 인선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당 안팎에선 3선 의원을 중심으로 여러 이름이 거론되고 있지만 계파색에 따라 상대 계파로부터 ‘비토’를 받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상임위원장을 맡지 않은 중진의원 중 홍일표, 황영철 의원은 비박(비박근혜)계라는 이유로, 조원진 의원은 친박(친박근혜) 핵심이라는 이유로 양측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친박계는 김태흠 제1사무부총장이 전당대회까지 사무총장직을 대행하는 방안도 거론하고 있지만 비박계는 ‘동반 퇴진한다는 이면 합의가 있었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당내에서는 계파색이 옅은 인물을 찾느라 ‘재선’ 급으로 후보군을 확대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온다.
김 위원장은 후임 인선이나 이면 합의 등에 대한 질문에 “지금으로서는 아무런 말씀을 드릴 수 없다”며 입을 다물었다.
사무총장 인선 문제는 전당대회 준비 과정에서 지역 당협위원장 정비 등을 통한 당 조직 장악 문제도 연계돼 있다. 비박계는 총선에서 큰 표 차이로 낙선한 친박계 인사를 다시 당협위원장으로 인선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어서 사무총장 인선 후에도 당 조직 정비 문제로 계파 간 힘겨루기가 재연될 수 있다.
총선 참패 원인을 분석한 백서 발간도 향후 비대위 순항에 영향을 미칠 변수다. 여기에는 공천 파동과 옥새 파동, ‘진박’ 논란 등 계파별 민감한 내용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내용과 방향에 따라 총선 책임론이 다시 부각될 수 있는 셈이다. 비대위는 당초 백서를 토대로 혁신 방향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집필 작업이 늦어지면서 일러도 7월 초·중순이 돼야 발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여권 관계자는 “비대위가 출범 3주가 지났지만 전당대회 날짜 하나 겨우 잡았다”며 “그나마 탈당 의원 복당 문제를 해결해 혁신의 모습을 보이나 했더니 계파 갈등으로 빛이 다 바랬다”고 지적했다.
[정치뉴스]
☞
☞
☞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길 못 찾는 김희옥 비대위… 나경원 “기대할 게 없다”
입력 2016-06-24 18:04 수정 2016-06-24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