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허가 국내 원전 총 30기로

입력 2016-06-23 21:37 수정 2016-06-24 00:49
울산 울주군 일대 고리 지역에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이 허가됐다. 이에 따라 국내 원전은 모두 30기(가동은 24기)로 늘어나게 됐다. 정부는 원전 건설을 통해 경남·울산 지역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일자리를 잃는 근로자를 대폭 흡수하는 등 경기 활력을 이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3일 전원회의를 열고 신고리 5·6호기 건설안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일부 반대 의견이 있었지만 위원 9명 중 7명이 찬성표를 던져 5·6호기 건설 허가안이 통과됐다.

이로써 신고리 5·6호기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2012년 9월 처음 원안위에 건설허가 신청을 낸 이래 약 4년 만에 건설에 들어가게 된다. 신고리 5·6호기는 140만㎾급 가압경수로형 원전이다. 원안위는 2013년 5월부터 건설허가 심사에 착수했으며 지난 4월 안전성 검사 결과가 나온 것을 바탕으로 지난달 26일 건설허가 의결을 처음 시도했다. 그러나 신고리 원자력발전소는 이미 원전 8기가 운영 중이거나 운영을 앞두고 있어 ‘원전 밀집지역’이라는 논란이 커지면서 회의는 두 차례 더 열렸다. 대도시가 가깝다는 점을 놓고도 반대 의견이 제기됐다.

이날 건설허가가 통과됨에 따라 한수원은 즉각 착공에 나서 신고리 5호기는 2021년 3월, 신고리 6호기는 2022년 3월 각각 준공할 계획이다. 한수원은 신고리 5·6호기 건설공사에 8조6254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신규 원전 건설을 경남지역의 경기침체와 실업문제 대안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울산에서 구조조정 관련 기관·기업 간담회를 갖고 “고용과 지역경제 어려움 해소를 위해 가능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하겠다”면서 “부산·경남 등 인근 대도시 권역을 포함하는 대체 일감을 적극 발굴·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야당과 환경단체는 인구밀집지역 관련 규정을 어긴 결정이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환경운동연합은 내진설계 기준이 미흡하다며 안전성 문제를 제기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