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실직한 고급인력들 원전 등 SOC에 상당수 흡수

입력 2016-06-23 21:42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울산 신고리 5·6호기의 원전건설을 허가한 23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구조조정 중인 울산광역시 소재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를 방문했다. 유 부총리는 “구조조정에 따른 근로자의 어려움을 완화하겠다”면서 “이들 업종 종사자들 중에는 용접·전기·배관 등 숙련된 기술을 가진 고급인력이 많다. 기술인력들이 육상플랜트, 반도체공장, 정유공장, 주택건설 등 관련된 분야에 신속히 재취업하도록 대체일감을 적극 발굴·지원하겠다”고 했다.

현재 정부는 구조조정에 따른 조선업 실직자가 내년까지 6만명 안팎이 될 것으로 봤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월부터 이달 말까지 희망퇴직 등을 통해 이미 3500명이 회사를 떠났다.

기술인력들의 재취업을 위해 정부가 생각한 것은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이다. 이미 정부는 지난 8일 산업기업 구조조정 추진 계획을 발표하면서 조선업 구조조정에 따른 협력업체 인력의 고용대책 중 하나로 지역 SOC 사업을 꼽았다. 조선업에 있는 인력 중 숙련공을 뺀 일반 인력은 대부분 건설·플랜트 인력과 겹치기 때문에 문제없다는 것이다.

이날 발표한 신고리 5·6호기의 경우 현대중공업 등 조선업이 몰려 있는 울산에 있다. 6년에 걸쳐 진행하는 대규모 건설이라는 점에서 조선업 인력 일부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선업 구조조정 관련 특별고용대책위원회를 구성한 울산시도 신규 원전 건설이 연평균 8817명의 고용을 유발할 것으로 봤다.

여기에 최근 정부는 대체일감을 하나 더 추가했다. 지난 2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김해 국제공항 확장 건설이다. 이를 감안한 듯 유 부총리는 “울산 등 해당 지역을 넘어 부산, 경상남도 등 인근 대도시 권역을 포함하는 광역단위의 지원체계를 구축해 실질적인 지원이 되도록 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김해 신공항의 개항 목표를 2026년으로 잡고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예비타당성 조사도 6개월 안에 끝내라고 주문했다.

세종=서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