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노조가 사측과 결탁해 ‘취업 장사’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검찰이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의혹의 핵심은 한국GM이 협력업체 소속 비정규직 일부를 정규직으로 전환시켜주는 과정에서 돈을 받고 채용 비리를 저질렀다는 것이다. 이렇게 취업을 미끼로 한 장사가 10년 넘게 이어졌다는 게 내부 고발자들의 얘기다. 한국GM 노사의 납품 비리를 수사 중인 인천지검 특수부는 최근 이 같은 첩보를 입수해 채용 비리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고 한다. 이게 사실이라면 개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국GM 노사의 뒷거래는 추악하기 짝이 없다. 그 실상을 들여다보면 이렇다. 한국GM은 공개 채용과는 별도로 ‘발탁 채용’ 제도를 두고 있다. 1차 협력(도급)업체 비정규직 직원만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정규직 발탁을 하는 제도다. 한데 실력이 아니라 ‘빽’이나 ‘줄’ ‘돈’이 있어야 가능하단다. 흔한 사례는 노조 집행부나 대의원을 통해 회사 윗선에 줄을 대는 것이다. 노조 간부나 임직원들이 친인척, 지인을 협력업체에서 1∼2년간 일하게 한 뒤 뒷돈을 받고 이 제도를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시켰다는 소문도 나돈다. 회사 또는 노조 간부나 정규직 직원이 ‘브로커’로 나서는 경우도 있다. 이들을 통해 7000만∼1억원을 주면 정규직을 보장받는다니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
이는 협력업체에서 성실하게 일하며 정규직 전환을 꿈꾸는 비정규직은 물론 취업에 목말라하는 많은 젊은이들을 좌절케 하는 중대한 범죄다. 한국GM의 노사 합작 비리는 이뿐만이 아니다. 부사장, 상무 등 임원 2명과 전현직 노조 간부 4명은 납품업체 선정에 개입한 뒤 업체 측으로부터 3000만∼1억여원의 뒷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거나 체포됐다. 노사가 공히 비정규직·납품업체 등 사회적 약자를 등쳐먹는 슈퍼 갑질을 하고 있으니 할말을 잃는다.
대기업 노조의 취업 장사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초임이 상대적으로 높은 자동차업계에서 종종 발생한다. 고질적이고 구조적인 적폐다. 이제 이런 악질적 범죄는 뿌리 뽑아야 한다. 검찰이 한국GM 노사 주요 인물들에 대해 전방위 계좌추적을 하고 있다고 한다. 검찰은 이번 취업 장사의 전모를 밝혀내 관련자들을 엄단해야 할 것이다.
[사설] 한국GM 노사‘취업 비리’의혹 철저히 규명돼야
입력 2016-06-23 17:57 수정 2016-06-24 0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