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전 국회 새누리당 원내대표실에 영남권 신공항과 관련된 5개 시·도 4선 이상 중진 의원들이 모였다.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 결정으로 들끓는 텃밭 민심을 달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회의를 주재한 정진석 원내대표는 “‘김해공항 확장’이라는 표현보다 ‘김해 신공항’이라는 표현을 쓰고 싶다”고 운을 뗐다. 이어 “개인적으로 정부의 이번 결정은 최근 국토교통부가 한 일 중에 가장 잘한 것 같다”고 치켜세웠다. 새누리당의 공식 입장은 ‘정부 결정을 존중하고 수용한다’(지상욱 대변인)였지만 지역 기반과 정치적 입장에 따라 평가는 엇갈렸다. 김해 신공항이라고 여론전을 펴는 데 대해선 당내에서조차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 파기 논란을 비켜가기 위한 말장난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회의엔 부산·경남(PK)의 이주영 조경태 의원과 대구·경북(TK)의 유승민 최경환 의원이 참석했다. 최근 복당한 유 의원과 친박(친박근혜)계 실세 최 의원은 바로 옆자리여서 두 사람이 나란히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눈길을 끌었다. 평소 김해공항 확장을 대안으로 제시했던 김무성 전 대표는 회의엔 불참했지만 정 원내대표를 통해 “신공항 문제에 정치권이 지나치게 개입해선 안 된다. 정부 발표를 대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최정호 국토부 제2차관의 보고가 끝나자마자 유 의원이 문제를 제기했다. 유 의원은 “정부 스스로 오랫동안 ‘김해공항 확장은 불가능하다’고 해놓고 갑자기 김해공항 확장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하니 부산은 물론 대구 주민 모두 어안이 벙벙한 상태가 됐다”고 했다. 또 “김해공항 확장과 관련된 철도나 고속도로 인프라 건설비가 6000억원이라고 했는데 이 부분도 과연 충분한 예산인지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마이크를 넘겨받은 최 의원은 정부를 적극 감싸고 나섰다. 그는 “국제적인 전문 용역업체에서 경제성과 기술적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적의 대안이라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에 대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TK도 PK도 다소 서운한 감정이 있겠지만 이를 정치권이 부추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특히 신공항 백지화가 대선 공약 파기라는 지적에 대해 “사실상 신공항 건설에 준하는 확장이기 때문에 대안을 찾았다고 보는 게 맞다”는 논리를 폈다.
회의 참석자 중 정부 결정에 문제를 제기한 이는 유 의원과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 두 사람이었다. 입지 후보였던 부산 가덕도는 김 원내수석부대표의 지역구다. 그는 김해공항 확장으로 소음피해 제로의 24시간 운항 가능한 공항을 만들 수 있는지,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을 맡기기 전에 이미 결론이 나 있던 건 아닌지 공개적으로 의구심을 제기했다.
비공개 회의는 30여분 만에 끝났다. 유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정부로부터 신통한 답변은 못 들었다”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27일쯤 5개 시·도지사와 정부 관계자를 불러 의견을 취합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보기]
☞
☞
☞
☞
☞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與 “확장 아닌 신공항”… 후폭풍 차단 안간힘
입력 2016-06-23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