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의 표류가 계속되고 있다. 권성동 사무총장 경질 문제로 김희옥 비대위원장의 리더십이 추락하자 여권 내부에선 “비대위 역할이 사실상 끝났다”는 평가까지 제기되고 있다.
권 총장은 22일 국회 본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사퇴할 수 없다는) 제 입장은 변화가 없다”며 “23일 비대위 회의에도 정상적으로 참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고위 의결로 사무총장을 경질한 관례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임명 2주 만에 사무총장을 경질한 전례도 없다”고 반박했다. 물러설 뜻이 전혀 없음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그는 오전 국회에서 열린 혁신비대위 산하 제1분과위 회의에도 참석했다.
권 총장 지원 세력도 확충되고 있다. 여권 내 대표적 소장파였던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사퇴를 주장한 친박계가) 압박으로 결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국민적 공감대는 거의 없다. 그냥 압박으로 끝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태 의원은 “권 총장 경질은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화풀이하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하태경 의원은 “김 위원장이 결단을 해야 한다”고 했다. 강원도 시군의회의장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권 총장 경질은 국민의 공분을 사는 적절치 않은 결정”이라며 “철회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전원 탈당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김영우 비대위원은 “비대위가 집안싸움만 하는 것 같아 부끄럽다. 비대위의 현주소와 위상을 볼 때 거취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권 총장 경질이 취소되지 않을 경우 비대위원직을 사퇴할 수 있다는 뜻도 내비친 셈이다. 홍문표 의원은 “권 총장이 대승적 차원에서 사과를 하고 김 위원장이 받아들여야 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의 처지는 더욱 난감해졌다. 그는 당무 복귀 과정에서 당의 기강 해이를 지적했지만 권 총장의 사퇴 거부로 권위를 더욱 상실하는 모양새다. 무소속 주호영 이철규 의원이 이날 당에 복당을 신청하면서 비대위는 23일 정례회의에서 이 문제도 논의해야 한다. 지난 20일 복당 신청한 장제원 의원까지 3명에 대한 복당이 승인되면 비대위 주요 과제였던 무소속 탈당 의원 논의는 완료되는 셈이다.
중진의원들은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당내 최다선인 서청원 의원은 권 총장 문제와 관련해 “비대위원장이 해야 할 몫”이라고 했고, 김무성 대표는 “잘 해결될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다만 정진석 원내대표는 “잠자코 있을 수는 없을 것 같다”며 “김 위원장, 권 총장과 얘기해보고 있다”고 했다.
[정치뉴스]
☞
☞
☞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버티는 권성동, 힘 빠지는 김희옥… 與 비대위 어디로?
입력 2016-06-22 18:17 수정 2016-06-22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