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공항 확장’으로 용역 결과가 발표되자 여권에선 새누리당의 지지 기반인 영남권이 두 동강 나는 사태는 막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10년 넘게 ‘뜨거운 감자’였던 신공항 건설이 또 백지화되면서 지역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는 모양새다. 대구·경북(TK) 지역 의원들은 부산 정치인들이 지나친 경쟁 구도로 몰고 갔다고 지적한 반면 부산 의원들은 갈등을 덮기에 급급한 ‘미봉책’에 그쳤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공항 백지화’에 불만 쏟아져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21일 용역 결과 발표 직후 “정부가 어려운 결정을 내린 만큼 우리가 대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면서 향후 갈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가덕도 유치를 위해 뛰었던 새누리당 부산 지역 의원들은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부산시당위원장인 김세연 의원은 “지역 갈등 극대화를 피하면서 고심 끝에 차선책인 김해공항 확장을 선택한 것”이라며 “24시간 운항할 수 있는 공항이 필요한데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라는 데 대해선 아쉽다”고 했다. 또 “장기적으로 가덕도 신공항 추진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도읍 의원도 소음 피해 문제를 거론하면서 “김해공항이 국제공항으로서 기능을 하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우려했다.
정부를 향한 비판도 이어졌다. 이진복 의원은 “갈등 봉합을 위해 이런 일을 했다면 정부로서 상당히 잘못된 선택을 한 것”이라고 했다. 김정훈 의원은 “누구에게 떡을 줄까 하는 방식으로 지자체 간 경쟁을 시키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TK 지역에서도 불만이 터져 나왔다. 대구시당위원장인 윤재옥 의원은 “대단히 실망스러운 발표”라며 “실망한 시·도민들의 염원을 어떻게 수습하고 대책을 강구할 것인지 논의하고 고민하겠다”고 했다. 조원진 의원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해공항은 안 된다는 전제하에 (입지 검토를) 한 것인데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부산 정치인들도 정쟁으로 몰고 간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고 각성해야 한다”고 했다.
유승민 의원은 “정부가 용역 결과를 그대로 수용하기로 한 것 같은데 이것이 최적의 결론인지 검토하는 과정이 남아 있다”면서도 “정치권에서 자제하는 것은 계속 필요하다”고 했다.
“불공정 용역조사”… 야권도 반발
더불어민주당은 지역 갈등과 경제성을 감안한 측면을 일부 인정했지만 ‘소모적 논란’을 키웠다며 박근혜정부에 화살을 돌렸다. 박광온 대변인은 “정부가 눈치보기식 태도로 3∼4년의 시간을 끌며 지역 갈등을 키운 꼴”이라고 했다.
더민주 소속 부산 지역 의원 5명은 가덕도 신공항 유치를 재추진키로 했다. 또 당내 ‘불공정 용역 진상조사단’을 꾸려 용역 과정에서 불법 행위가 있었는지 진상 규명을 하겠다고 했다. 다만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이번 발표를 “비교적 중립적”이라고 평가한 만큼 재추진이 힘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국민의당도 용역 과정의 문제점을 꼼꼼히 살펴보겠다고 했다. 김경록 대변인은 “표에만 눈이 먼 무책임한 정치인들의 행태 때문에 지역 민심이 갈가리 찢기는 등 국민이 치러야 했던 비용과 사회적 부작용이 너무 크다”고 했다.
[관련기사 보기]
☞
☞
☞
☞
☞
☞
김경택 고승혁 기자 ptyx@kmib.co.kr
TK “정쟁몰이 부산의원들 각성”… 부산 “갈등 회피용 미봉책”
입력 2016-06-22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