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에도 ‘김해 확장’… 시간·돈 허비는 어쩌나

입력 2016-06-22 04:30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의 장 마리 슈발리에 수석엔지니어가 21일 영남권 신공항 후보지 심사결과가 담긴 자료를 들고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브리핑룸 연단에 오르고 있다. 세종=구성찬 기자

영남권 신공항의 최종 결론은 김해국제공항 확장이라는 ‘묘수’로 결론났지만 후유증과 반발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첨예한 갈등을 빚어왔던 부산과 대구 등 관련 지자체 어느 곳도 만족할 만한 결과로 받아들이지 않는 데다 이를 둘러싼 정쟁도 가라앉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를 의식한 듯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용역결과 발표에서 “그동안 신공항 유치 경쟁 과정에서 일부 갈등과 논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입지평가 결과가 나온 만큼 대승적 차원에서 수용해 주시길 간곡히 당부한다”고 말했다.

연구용역에 나선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의 장 마리 슈발리에 수석엔지니어도 기자회견장에서 “지역 간 갈등도 많고 견해차가 크다는 것도 알았다. 의견을 수렴해 충분히 반영했다”고 했다.

그러나 불만은 여전했다. 신공항 건설이 무산된 해당 지자체 관계자들은 연구용역에 문제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11년 결과를 되풀이한 것을 두고 시간과 돈 모두 허비했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정부는 영남권 신공항 최종 후보지를 선정하지 못했다. 국토부는 4억원의 예산을 들여 국토연구원에 연구용역을 맡겼다. 당시 국토연구원은 김해공항의 기존 활주로를 연장하거나 교차 건설하는 등의 확장안을 내놨지만 여전히 공항 수요 용량이 적은 데다 소음 등의 문제가 있어 일찌감치 후보지에서 탈락시켰다. 최종 후보에 오른 밀양과 가덕도도 사업 착수 기준이 되는 50점에 못 미쳐 탈락했고 계획은 무산됐다.

이번에 ADPi는 김해공항 확장보다는 신공항 건설로 접근했다. 공항 용량을 높이고 항공기 이착륙의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 새로운 활주로를 하나 더 만들려면 관제탑과 터미널, 도로까지 만들어야 하는 만큼 90% ‘신공항(New Airport)’이라고도 했다. 기존 활주로의 서쪽 방향에서 40도 각도를 틀어 새로운 활주를 하나 더 만들게 된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약 20억원의 연구용역비를 지원했다.

국토부가 연구용역만 제대로 했더라도 신공항 논란은 일찌감치 끝났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슈발리에 수석엔지니어는 “터키 이스탄불의 아타투르크 공항과 동일한 제안을 했다. 6100만명을 수용하는 곳인데 김해공항을 확장하면 그 정도의 사이즈가 될 것”이라며 “큰돈이 들어가는 것은 맞지만 밀양이나 가덕도에 새로운 공항을 짓는 것에 비해서는 큰돈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면서 향후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해야 할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부담도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산물이라는 비난 속에서 합리적 결론을 도출해야 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KDI 이재준 재정투자평가실장은 “경제성만 가지고 정책을 결정할 수는 없다”면서 “늘 예타를 할 때는 부담감을 갖기 마련이지만 지역과 정치권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는 신공항 같은 사안에 대해서는 더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관련기사 보기]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