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공항 확장안’ 왜 나왔나… ‘최악 갈등’ 피하려는 정치적 절충안

입력 2016-06-21 18:03 수정 2016-06-21 21:56



영남권 신공항 입지가 ‘제3의 선택지’인 김해공항 확장안으로 정해진 것은 신공항을 둘러싼 갈등이 회복 불능 상태로 악화된 것과 무관치 않다. 김해공항 확장안의 경우 이전에도 검토된 적이 있었지만 24시간 운항 제약, 비용 문제 등으로 논의가 확대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꺼내든 카드가 결과적으로 양측을 고려한 정치적 절충안이 됐다는 분석이다.

이날 발표에서 정부가 밀양이나 가덕도 중 한 곳의 손을 들어줬을 경우 탈락 지역의 반발이라는 후폭풍을 피해가기 힘들었다. 밀양으로 낙점됐을 경우 현 정부와 가까운 TK 지역을 위한 결정이란 여론의 반발이 예상됐고, 가덕도로 결정될 경우 부산을 제외한 모든 영남권 민심과 담을 쌓는 결과가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정부 입장에선 공항 건설 분야에서 국제적 권위를 갖고 있는 ADPi가 특정 지역을 완전히 등지지 않아도 되는 논리를 제공한 셈이다.

김해공항 확장안의 경우 밀양, 가덕도의 주도권 싸움에 밀려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몇 차례 논의된 적은 있었다.

부산발전연구원은 2008년 ‘동북아 제2허브공항 입지 및 타당성 조사를 위한 기초연구’에서 김해공항 기존 활주로에서 30도 정도 틀어 교차 활주로를 신설하는 1안, 기존 활주로에서 30도를 틀어 북쪽으로 900m 이동한 교차 활주로를 신설하는 2안을 검토했다.

2012년에는 한국공항공사가 ‘김해공항 활주로 용량 증대방안’ 용역을 진행해 기존 남북 방향으로 놓인 2개 활주로 서쪽에 반시계방향으로 50도 정도 튼 2700m 보조 활주로를 만드는 확장안을 내놨다. 보조 활주로를 건설할 경우 연간 2만4000회, 관제절차 개선으로 연간 3만3000여회의 슬롯(SLOT·시간당 이착륙 횟수) 증설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후에도 김해공항 확장안은 제대로 논의되지 않은 채 밀양이냐 가덕도냐의 팽팽한 줄다리기만 계속됐다. 따라서 ADPi의 사전타당성 검토 결과는 그간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던 새로운 결론을 내려준 셈이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교수는 “애초 신공항 논의가 김해공항 포화 문제에서 시작된 만큼 김해공항에서 해법을 찾자는 목소리가 있었으나 그간 정치권 및 지역의 이해관계에 가로막혀 제대로 논의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보기]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