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신공항의 꿈, 26년 만에 좌절

입력 2016-06-21 18:05 수정 2016-06-21 18:06
영남권 신공항은 1990년 인천국제공항과 함께 필요성이 제기됐다. 26년 만에 김해국제공항 확장으로 좌절된 셈이다.

인천공항에 대한 타당성 조사 당시부터 김해공항 역시 시설이 낡고 수요는 늘어나고 있어 영남권의 새로운 공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과 함께 부산권 신공항 개발 타당성 조사 용역도 동시에 수행했지만,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고 유야무야됐다.

9년 뒤 부산시가 다시 신공항 건설을 주장했다. 부산시는 1999년 11월 김해국제공항발전연구팀을 구성해 신공항 건설 필요성 검토와 김해공항의 기능 확충 및 발전계획을 만들기 위해 토론회와 공청회를 열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영남권 신공항은 지역 문제였다. 국가적으로는 2001년 문을 연 인천공항의 차질 없는 개항과 안정적인 운영이 더 큰 과제였다.

인천공항의 성공은 영남권 신공항 여론에 불씨를 살렸다. 2004년 부산시는 구체적으로 가덕도 앞을 매립해 동남권 허브공항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 대구·경북이 경남 밀양에 영남권 전체와 일부 호남·충청을 아우르는 남부권 신공항을 만들자고 맞불을 놓았다. 이때부터 부산과 대구·경북의 대립 구도가 시작됐다.

2006년 12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타당성 검토를 지시하면서 영남권 신공항은 현실로 성큼 다가오는 듯했다. 2007년 대선을 앞두고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부산, 밀양, 대구 등에서 신공항 건설을 약속하고 나섰다.

2008년 9월 이명박정부는 동남권 신공항을 30대 광역 선도 프로젝트로 선정했고 이듬해 4월 국토연구원은 동남권 신공항의 후보지를 가덕도와 밀양 2개로 압축해 발표했다. 입지평가위원회까지 구성돼 현지 실사를 했지만 가덕도와 밀양을 두고 지역 여론이 극단적으로 대립하면서 결국 정부는 2011년 두 지역 모두 경제성이 미흡하다며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했다. 대안으로 김해공항 확장 방안이 제시됐지만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2012년 대선에서 다시 신공항 공약이 등장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후보 모두 이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2014년 8월 25일 정부가 ‘수요는 충분하다’는 수요예측을 발표하며 다시 신공항 건설이 추진됐다. 2011년의 백지화 결정을 반면교사로 삼아 지난해 1월 19일 서병수 부산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김기현 울산시장, 홍준표 경남지사, 김관용 경북지사가 “정부가 외국 전문기관에 의뢰해 결정하도록 뜻을 모은다”고 합의했다. 정부는 1년 전인 6월 26일 프랑스 ADPi(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컨소시엄에 1년간 용역을 맡겼다.세종=서윤경 기자